3초마다 한 명이 사망에 이르는 질환, 폐렴...
백신 접종으로 폐렴구균성 폐렴 예방해야
-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 10년간 약 191% 증가2, 3년 연속(2018-2020년) 국내 사망 원인 3위 기록
- 폐렴구균성 폐렴, 코로나19, 독감과 함께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호흡기 감염병
- ‘세계 폐렴의 날’ 맞아 퀴즈 이벤트 사내 행사 통해 폐렴구균 백신 접종 중요성 전달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세계 폐렴의 날’을 기념해 폐렴구균 질환에 대한 이해와 인식 향상을 바탕으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퀴즈 이벤트 사내 행사를 11월 12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매년 11월 12일은 폐렴의 위험성에 대한 이해와 경각심을 높이고, 폐렴의 예방과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아동폐렴글로벌연합(The Global Coalition against Child Pneumonia)이 제정한 ‘세계 폐렴의 날’이다. 이에 한국화이자제약은 ‘세계 폐렴의 날’을 기념하고 대내외적으로 폐렴구균 질환 예방 수칙을 알리고자 인포그래픽 배포, 퀴즈 이벤트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해왔다.
올해 한국화이자제약의 ‘세계 폐렴의 날’ 사내 행사는 코로나19 대유행 상황 속에서 코로나19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폐렴,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 질환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호흡기 질환으로 부터 보호하는 힘>을 주제로 폐렴구균과 독감 백신 병용투여 관련 퀴즈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한국화이자제약은 이번 행사를 통해 올해 초부터 진행된 임직원 대상 독감 백신 및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13 접종 지원 프로그램을 알리며, 아직 접종하지 않은 임직원을 대상으로 병용 투여*가 가능한 독감 및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통해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독려했다.
*프리베나®13은 만 50세 이상 기준 3/4가 비활성화 인플루엔자 백신과 병용투여 시, 일부 폐렴구균 혈청형에 대한 면역반응은 프리베나®13 단독투여 시 보다 낮았으며, 이에 대한 임상적 유의성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폐렴은 폐에 균이 들어가 염증이 생겨 발열, 기침, 오한 등의 증상으로 발현되는 질환으로 심각한 경우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로 매우 다양하다.3 이 중 폐렴구균은 국내 성인에서 발생하는 지역사회획득 폐렴 중 최대 69%를 차지하는 원인균으로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자 코로나19 및 인플루엔자에서 가장 흔한 동시 감염 병원체로 보고된 바 있다. 코로나19와 호흡기 동시 감염된 병원체 중 폐렴구균은 59.5%로 가장 높았으며, 인플루엔자와 동시 감염된 병원체 중 폐렴구균은 35%를 차지했다.13,14 또한, 인플루엔자와 폐렴구균에 동시 감염될 경우 입원 및 중증 증상으로의 발전 위험이 증가한다.14
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 한 해 동안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22,257명을 기록해, 폐암이나 대장암보다 사망자 수가 많았다.2 폐렴은 2010년부터 꾸준히 순위가 높아지면서 2018년 뇌혈관질환을 넘어 3년 연속 국내 사망원인 3위를 기록하고 있다. 2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과 만성질환자의 경우 폐렴구균 질환의 위험군으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권고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4차 폐렴 적정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폐렴 사망률은 2019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45.1명이며, 65세 이상 폐렴 사망률로 추산할 경우 인구 10만 명 당 283.1명으로 약 6배 급격히 증가해 폐렴은 노인 환자 사망률이 높은 질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당뇨병, 만성폐질환, 만성심혈관 등 기저질환을 앓고 있거나 면역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건강한 성인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 발병률이 높다. 연구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 발생 위험이 만성폐질환 환자에서 7.7-9.8배, 당뇨병 환자는 2.8-3.1배, 만성심질환 환자는 3.8-5.1배로 나타났다.**
** 2006년부터 2010년까지 3개의 의료보험청구기관에서 만성질환을 보유하거나, 면역저하 상태에 있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한 성인 대비 폐렴구균 질환 위험을 평가한 코호트 스터디
폐렴구균성 폐렴은 코로나19, 독감과 같이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호흡기 감염병이다.3 이에 정부, 학계에서도 고령층, 만성질환자 대상으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통한 폐렴구균 질환 예방을 권하고 있다. 15, 우리나라 질병관리청은 65세 이상 고령층 대상으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반드시 실시할 것을 권장했으며,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23가 다당질백신의 1회 접종을 원칙으로 하나, 기저질환자의 경우 질환 중증도 및 상태에 따라 13가 단백접합백신의 우선 접종을 고려할 수 있다고 2020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을 통해 명시했다.
한국화이자제약 백신사업부 김희진 전무는 “세계 폐렴의 날을 맞아 고령화 사회 속에서 더욱 주의해야 할 질환으로 떠오르고 있는 폐렴에 대한 이해와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한국화이자제약 백신사업부는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들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리베나®13
프리베나®13 은 백신에 포함된 13 가지 폐렴구균 혈청형(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23F)에 의한 폐렴 및 침습성 질환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는 단백접합백신으로, 세계 판매 1 위 폐렴구균 백신(전 연령 대상 폐렴구균 백신 판매량 2020 1Q MAT 기준, Global IQVIA data)이자, 국내에서도 허가를 받은 이래 국내 영유아 폐렴구균 시장에서 11 년 연속 판매 1 위를 기록해오고 있다(국내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판매량 기준, 2010-2020 연도, Korea IQVIA data).
프리베나®13 은 현재 세계 120 여개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폐렴구균 백신이다. 7 2009 년 12 월 유럽에서 영유아 대상으로 처음 도입됐으며, 2013 년 1 월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으로부터 만 6 세에서 17 세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을 예방하는데 사용하도록 확대 승인받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 년 3 월 처음 허가 받았으며,21 2012 년 5 월에는 50 세 이상 성인의 폐렴구균 폐렴 및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예방을 위해 1 회 접종토록 허가 받았다. 같은 해 10 월에 성인의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예방 대상이 18 세 이상까지 확대됐다. 2015 년 10 월에는 폐렴구균 폐렴 예방에 대해 18 세 이상으로 허가 연령이 더욱 확대됐다.
한국화이자제약
한국화이자제약은 글로벌 제약업계를 선도하는 화이자 주식회사(Pfizer Inc.)의 한국법인으로 내과질환, 염증 및 면역질환, 희귀질환, 백신, 항암제, 병원사업부 등 6개 사업부에서 신약 및 주요 치료제를 국내 환자들에게 공급하고 있으며, 자사의 기업 가치인 ‘환자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혁신(Breakthroughs that Change Patients’ Lives)’을 실현하기 위해 우수한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끊임없이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한국화이자제약은 최고의 제품과 차별화된 서비스, 업계를 선도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 만족을 꾸준히 개선해 나아가고 있으며, 변화하는 환경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전문화된 R&D 발전 및 혁신적인 보건 환경 조성을 위해 △과학 분야의 핵심역량 강화에 집중, △전략적인 파트너십 강화, △맞춤의학을 통한 차별화된 혁신/파이프라인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책임 있는 기업 시민으로서 더불어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고자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한국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를 공유하고 윤리 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www.pfizer.co.kr
References
1 Asian Pacific Society of Respirology, World Pneumonia Day
2 통계청, 202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2021.09.28
5 중앙방역대책본부·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지자체용) 제10판 (2021. 5. 17.)
6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제5판, 충북, 2017
9 CDC. Pneumococcal Disease. Available at: www.cdc.gov/pneumococcal/about/index.html. Updated September 1, 2020. Accessed April 23, 2021.
11 질병관리본부. 2017 성인 지역사회획득폐렴 항생제 사용지침
12 Morris DE, Cleary DW, Clarke SC. Secondary Bacterial Infections Associated with Influenza Pandemics. Front Microbiol. 2017;8:1041
13 Zhu X, et al. Co-infection with respiratory pathogens among COVID-2019 cases. Virus Res. 2020 Aug;285:198005.
14 Klein EY, et al. The frequency of influenza and bacterial co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fluenza Other Respir Viruses. 2016 Sep;10(5):394-403
15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 3판, 2019
1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9년(4차) 폐렴 적정성 평가결과, 2021.07
17 Shea KM, et al. Rates of pneumococcal disease in adults with chronic medical conditions, Open Forum Infect Dis. 2014;1-9. doi:10.1093/ofid/ofu02
18 질병관리청,코로나19관련 홍보자료. 별첨자료. [2021.8.30.보도참고자료]
19 질병관리청,2020년 어르신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관리지침,2020.06
20 Korea IQVIA data, 2010-2020 연도, 국내 영유아 대상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판매량 기준
21 프리베나13® 제품설명서 (최종 변경 허가일: 2020.12.10)
22 Global IQVIA data. 2020 1Q MAT, 전 연령 대상 폐렴구균 백신 판매량 기준
23 Data on file, Pfizer Korea (1)
24 EMA, Prevenar 13, pneumococcal polysaccharide conjugate vaccine (13-valent, adsorbed) : EPAR - Product information (last updated: 26/10/2021)
26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수입품목변경 허가 [한국와이어스(주), 프리베나13주(폐렴구균 씨알엠(CRM197) 단백접합백신)], 2012.5.25
27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수입품목변경 허가[한국화이자제약(주)-프리베나13주(폐렴구균 씨알엠(CRM197) 단백접합백신)], 2013.10.28
28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 수입품목변경 허가[한국화이자제약(주)-프리베나13주(폐렴구균 씨알엠(CRM197) 단백접합백신)], 2015.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