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2-16일 개최 예정인 레트로바이러스 및 기회감염학회(CROI)에서 HIV 2제요법 및 장기지속형 주사제 2개월 간격 투여 최신 데이터 발표
HIV 3제 이상 요법에서 2제요법 도바토로 치료 전환 시 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바이러스 억제 효과 평가한 최대 3년 장기 데이터 공개
지난 3일 국내 식약처 허가된 장기지속형 주사제 보카브리아·레캄비스 병용요법, 성인 감염인에 대한 152주 장기 데이터 및 만12-18세 청소년에서의 가능성도 평가
GSK의 HIV 전문기업 비브 헬스케어는 HIV 2제요법 단일정 도바토(성분명 돌루테그라비르 50mg, 라미부딘 300mg)와 HIV 장기지속형 주사제인 보카브리아(성분명 카보테그라비르 600mg/3mL), 레캄비스(성분명 릴피비린 900mg/3mL) 병용요법에 대한 회사 및 연구자 주도 연구 초록을 2월 12~16일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2022 레트로바이러스 및 기회감염학회(CROI, Conference on Retroviruses and Opportunistic Infections)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카브리아, 레캄비스는 2월 3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바이러스학적으로 억제되어 있고 바이러스학적 실패 이력이 없으며 카보테그라비르 또는 릴피비린에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내성이 없는 성인 환자의 HIV-1 감염 치료를 위한 병용요법으로 승인된 바 있다.4 보카브리아+레캄비스 병용요법은 국내에서 1개월 또는 2개월 주기 주사요법으로 승인되었다.4
도바토 HIV 2제요법 관련 연구 데이터
도바토와 관련해 발표되는 주요 데이터에는 무작위, 오픈라벨, 활성대조, 평행그룹 3상 임상연구인 TANGO 연구의 144주 장기 유효성 분석 결과와 무작위, 다기관, 오픈라벨, 비열등성 3상 임상연구인 SALSA 연구의 48주 연구 결과에 대한 두 개의 초록이 포함되었다.7
TANGO 연구는 테노포비르알라페나미드푸마르산염(TAF) 기반 3제 이상 요법으로 바이러스 억제 상태를 유지한 성인 HIV 감염인이 도바토 2제요법으로 치료 전환 시 바이러스 억제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한 연구다. 이번 학회에서는 144주차까지 방문 추적 시 바이러스 수치가 40c/mL 미만인 HIV 감염인과 바이러스 미검출(Target Not Detected, TND) 상태인 HIV 감염인 비율에 대한 추가 장기 데이터가 발표될 예정이다.1,7
SALSA 연구는 3제 이상의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으로 바이러스 억제 상태를 유지한 성인 HIV-1 감염인이 도바토 2제요법으로 치료 전환 시 바이러스 억제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연구다.8
이번에 발표될 데이터에는 베이스라인에서 기존에 내성을 갖고 있던 감염인 표본 비율을 확인한 데이터와 연구 48주차까지 바이러스 수치 40c/mL 미만 및 TND 기준을 통해 엄격하게 측정한 HIV 감염인의 바이러스 반응과 대사적 건강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8
보카브리아, 레캄비스 HIV 장기지속형 주사제 병용요법 관련 연구 데이터
보카브리아, 레캄비스 장기지속형 주사제 병용요법에 대한 주요 데이터에는 무작위, 다기관, 오픈라벨, 비열등성3b상 임상연구인 ATLAS-2M 연구의 152주 장기 데이터,7와 MOCHA* 연구자 주도 1/2상 임상연구 데이터가 포함되었다.7
ATLAS-2M 연구는 바이러스 억제 상태의 성인 HIV-1 감염인을 대상으로 보카브리아, 레캄비스 병용요법을 2개월 단위로 투여했을 때 월 1회 투여 시 대비 비열등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다.2,7 이번 학회에서는 해당 병용요법의 2개월 단위 투여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152주 장기 데이터가 제공될 예정이다.2,7
MOCHA 연구는 만12-18세 청소년 HIV-1 감염인을 대상으로 보카브리아, 레캄비스 병용요법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다.3 이번 학회에서 MOCHA 연구의 첫 번째 코호트 데이터가 발표될 예정이며 HIV 장기지속형 주사제 병용요법에 대한 연구 참가자의 경험, 인식, 및 가능성에 대한 질적, 양적 통찰을 제공할 예정이다.3,7
비브 헬스케어의 연구개발 총괄책임자인 킴벌리 스미스(Kimberly Smith) 박사는 “이번 CROI 2022에서 발표될 데이터는 자사의 HIV 장기지속형 주사제 및 2제요법 치료제의 유효성과 안전성 데이터를 보여주는 최대 3년의 연구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며 “지난 2년 간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비브 헬스케어는 HIV 치료 및 예방을 위해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하는 획기적인 발전을 통해 분야 내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다가올 CROI 2022에서 자사의 최신 데이터를 HIV 커뮤니티와 공유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비브 헬스케어의 위 연구들과 더불어 CROI 2022에서는, 노출 전 예방요법에서 보카브리아를 평가한 HIV 예방 임상 네트워크(HIV Prevention Trials Network, HPTN)의 HPTN 083 및 084 연구 관련 4개의 신규 데이터 초록이 발표 예정이다. 현존하는 HIV 예방 임상 프로그램 중 가장 다양하고 포괄적인 HPTN 연구 데이터에는 HPTN 083에서 확인된 보카브리아의 노출 전 예방요법 사용에 대한 최신 유효성, 안전성 및 사례 연구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HPTN 084에서는 임산부 HIV 감염인 대상 치료제 안전성 및 약동학 평가 데이터, 노출 전 예방요법으로 보카브리아 사용 시 통합효소억제제 내성 위험이 미치는 영향, 그리고 외부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위약 대비 노출 전 예방요법으로 보카브리아 사용 시 유효성에 대한 추정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 * 보카브리아, 레캄비스는 국내에서 바이러스학적으로 억제되어 있고, 바이러스학적 실패 이력이 없으며 카보테그라비르 또는 릴피비린에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내성이 없는 성인 환자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제1형(HIV-1) 감염 치료를 위한 레캄비스 또는 보카브리아와의 병용요법으로 승인됐습니다. ,
국내 허가사항과 적응증과 다른 연구이므로, 국내허가사항은 아래 부가설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도바토(Dovato)에 대하여
도바토(Dovato, 성분명: 돌루테그라비르 50mg, 라미부딘 300mg)는 이 약의 개별 항레트로바이러스 성분에 대하여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내성관련 치환이 없는 성인 및 12세 이상(체중 40 kg 이상) 청소년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1) 감염 치료를 위해 허가된 첫 2제요법 복합제다.
1일 1회 1정 복용하는 도바토는 돌루테그라비르(dolutegravir, DTG)와 라미부딘(lamivudine, 3TC) 등 두 성분의 단일정이다.
도바토는 대표적 인터그라제 억제제(INSTI)인 돌루테그라비르와 뉴클레오시드역전사효소 억제제(NRTI)인 라미부딘의 완전한 2제 복합제로서, HIV 복제에 필수적인 바이러스성 DNA가 인간 면역세포(T세포)의 유전물질로 통합되는 것을 방해하는 동시에 바이러스성 RNA의 DNA 변환을 차단해 바이러스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한다.
보카브리아+레캄비스(Vocabria+Rekambys)에 대하여4,5
보카브리아주(Vocabria, 성분명 카보테그라비르 600mg/3mL)와 레캄비스주(Rekambys, 성분명 릴피비린 900mg/3mL)는 바이러스학적으로 억제되어 있고 (HIV-1 RNA <50 copies/mL), 치료 실패 이력이 없으며 카보테그라비르 또는 릴피비린에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내성이 없는 성인 환자에서 HIV-1 감염 치료를 위한 릴피비린 주사와의 병용요법이다.
주사요법 시작 전 환자에게 보카브리아정(Vocabria, 성분명 카보테그라비르 30mg) 1정과 에듀란트정 (Edurant, 성분명 릴피비린 25mg) 1정을 약 1 개월(최소 28 일) 동안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경구 도입요법 마지막 날에, 보카브리아+레캄비스 장기지속 주사요법 초기 투여량은 보카브리아주(600mg/3mL) 1회, 레캄비스주 (900mg/3mL) 1회 근육주사이다. 1 개월 후, 두번째 개시주사를 근육주사로 투여해야 하며 해당 2차 개시 주사 후, 성인에게 권장되는 이 약의 유지 주사 투여량은 보카브리아주(600mg/3mL) 1회, 레캄비스주 (900mg/3mL) 1회 근육주사로 제 5 개월부터 2개월 주기로 투여한다. 환자는 매 2 개월마다 주사 투여 예정일의 전후 7일 이내에 주사를 맞을 수 있다.
Rekambys (rilpivirine long acting) and Edurant (rilpivirine), including the trademark, is owned by the Janssen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used under license by the GSK group of companies. All other trademarks are owned by the GSK group of companies.
GSK에 대하여
GSK는 세계적인 연구개발 중심의 제약 및 헬스케어 회사로서, 인류가 건강장수와 행복을 추구하며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일에 헌신하고 있다. 회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kr.gsk.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브 헬스케어(ViiV Healthcare)에 대하여
비브 헬스케어는 2009년 11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화이자(Pfizer)가 HIV 감염인 및 감염 관련 인류 보건문제 해결을 위해 설립한 세계에서 유일한 글로벌 HIV 전문 기업이다. 일본 제약기업인 시오노기(Shionogi)는 2012년 10월 주주로 참여했다. 비브 헬스케어는 ‘우리는 어떠한 환자도 포기하지 않는다(Leave No PLHIV Behind)’는 비전 하에, HIV 예방 및 치료, 혁신적인 치료제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GSK가 비브 헬스케어의 치료제를 수입/판매하고 있다.
Important Safety Information for Dovato5
돌루테그라비르 관련 과민반응: 돌루테그라비르 투여 시 과민반응이 보고되었는데, 발진과 전신 소견, 때때로 중증의 간 반응을 포함한 장기 기능이상을 특징으로 하였다. 과민반응의 징후 또는 증상이 발생하면 (중증의 발진이나 간 효소의 상승을 수반한 발진, 발열, 전신권태감, 피로, 근육통, 관절통, 수포, 구강병변, 결막염, 안면부종, 호산구증가증, 혈관부종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음), 이 약과 다른 의심되는 약물의 투여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 간 아미노전이효소 및 빌리루빈을 포함한 임상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과민반응 발현 후 이 약 또는 다른 의심되는 약물의 투여 중단이 지연되면 생명을 위협하는 알레르기반응이 유발될 수도 있다.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도페틸라이드와 병용투여해서는 안 된다.
라미부딘 관련 경고: 1)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를 단독투여 하거나 이 약이나 다른 항레트로바이러스제와 병용하는 경우에 치명적인 사례를 포함하여 유산산증과 지방증을 동반하는 중증 간비대가 보고되있다. 2) HIV와 B형간염 바이러스가 동시 감염된 환자에게서 이 약의 투여 중단 후 B형간염의 중증 급성 악화가 보고되었다. 3) 췌장염을 암시하는 증상(심한 복부통증, 구역/구토)이나 실험실적 수치 이상(혈청아밀라제, 혈청리파아제, 중성지방 상승 등)이 나타나면 이 약의 투여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 4) 항레트로바이러스제로 병용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중심비만증, Buffalo hump, 말초소모증, 얼굴소모증, 유방 확장, 혈청 지질 및 혈당 상승을 포함한 체지방 재분배/축척이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관찰되었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중등도~중증 신장애 환자 2) HIV 및 B형간염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된 환자 3) 만성 C형간염으로 인터페론과 리바비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4) 췌장염의 병력이 있는 소아 환자, 췌장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약물을 동시에 투여 받고 있는 환자 5) 간비대, 간염 또는 비만여성과 같은 간질환의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 4. 과민반응: 아나필락시, 두드러기가 나타날 수 있다. 5. 일반적 주의: 1)이 약은 단독요법으로 투여하지 않는다. 2)중등도 및 중증 신장애 환자에서 라미부딘의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Important Safety Information for Vocabria+Rekambys4,5
카보테그라비르 관련 과민성: 다른 인테그레이스 억제제와 관련하여 과민성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반응은 발진, 전신 소견, 때때로 장기 기능 장애(간 손상 포함)의 특징을 보였다. 지금까지 카보테그라비르와 관련해서 이러한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의사들은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하며 과민성의 징후나 증상(중증 발진, 또는 발열, 전신 병감(권태), 피로, 근육통 또는 관절통, 수포, 구강 병변, 결막염, 안면 부종, 간염, 호산구증 또는 혈관 부종이 동반되는 발진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아야 한다.)이 발생하면 이 약 및 다른 의심되는 의약품의 투약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 간 아미노전이효소를 포함한 임상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과민성 발생 위험이 있을 수 있는 환자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경구 도입요법 투여가 권장된다. 카보테그라비르 관련 간독성: 기저 간질환과 무관하게 이 약을 투여한 제한된 수의 환자에서 간독성이 보고되었다. 간 화학검사 모니터링이 권장되며 간독성이 의심되는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카보테그라비르장시간 작용 특성 이 약의 잔류 농도는 장기간(12개월까지 또는 그 이상) 환자의 전신 순환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 약의 중단 시 약물의 투여를 중단할 때 이 약의 중단 시 고려되어야 한다. 카보테그라비르치료 중단 후 내성 발생 위험: 바이러스 내성 발현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1개월 주기로 투여시에는 마지막 투여 후 1개월 이내에, 2개월 주기로 투여시에는 마지막 투여 후 2개월 이내에 억제 기능이 완전한 대체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을 채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만약 바이러스학적 실패가 의심된다면, 가능한 한 빨리 대체 요법을 시작해야 한다. 의약품과의 상호작용: 카보테그라비르의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의약품과 함께 처방 시 주의해야 한다. HBV 또는 HCV 동시감염 환자: B형 간염에 동시감염된 환자는 이 약의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B형 간염에 동시 감염된 환자에게는 이 약을 시작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의료진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된 환자의 HIV 감염 관리를 위해 최신 치료 지침을 참고해야 한다. C형 간염에 동시 감염된 환자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적이다. C형 간염에 동시감염된 환자에 대해서는 간 기능 모니터링이 권장된다. 기회 감염: 카보테그라비르 또는 다른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투여 중임에도 기회감염이나 HIV 감염에 의한 다른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음을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 따라서 관련 HIV 질환 치료에 경험이 있는 의사가 계속해서 환자의 임상상태를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10) 이 약이 운전 또는 기계조작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된 바 없다. 환자의 운전 또는 기계조작 능력을 고려할 때 환자의 임상적 상태와 이 약의 이상반응 프로필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에 함유된 다른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리팜피신, 리파펜틴, 카바마제핀, 옥스카바제핀, 페니토인 또는 페노바르비탈과 병용투여해서는 안 된다. 보카브리아정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릴피비린 관련 의약품과의 1) 의약품과의 상호작용: 릴피비린의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의약품과 함께 이 약을 처방 시 주의해야 한다. 치료 중단 후 잔류 농도 및 내성 발생 위험: 릴피비린의 잔류 농도는 장기간 (12 개월 이상) 환자의 전신 순환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 약의 중단 시 고려되어야 한다. 바이러스 내성의 발현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이 약을 1 개월 주기로 투여시에는 마지막 투여 후 1 개월 이내에, 2 개월 주기로 투여시에는 마지막 투여 후 2 개월 이내에, 억제기능이 완전한 대체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을 채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만약 바이러스학적 실패가 의심된다면, 가능한 한 빨리 대체 요법을 시작해야한다. 주사 후 반응: 임상시험에서, 릴피비린 주사 후 몇 분 이내에 호흡 곤란, 초조, 복부 경련, 홍조, 발한, 구강의 무감각, 그리고 혈압의 변화 등 중증의 주사 후 반응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반응은 투여 후 몇 분 이내에 해결되기 시작했으며 의도치 않은 (부분적) 정맥 투여와 관련되었을 수 있다. 실수로 정맥 투여를 하지 않도록 이 약을 준비하고 투여할 때는 사용 지침서를 주의 깊게 따른다. 환자가 주사 후 반응을 보일 경우 임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대로 모니터링하고 치료한다.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된 환자: B형 간염에 동시 감염된 환자는 이 약의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B형 간염에 동시 감염된 환자에게는 이 약을 시작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경구 릴피비린을 복용하는 B형 간염에 동시 감염된 환자의 경우, 경구 릴피비린을 복용하는 B형 간염에 동시 감염되지 않은 환자에 비해 간 효소 상승 발생률이 높았다. 의료진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된 환자의 HIV 감염 관리에 대한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을 참조해야 한다. C형 간염에 동시 감염된 환자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적이다. 경구 릴피비린을 복용하는 C형 간염에 동시 감염된 환자는 경구 릴피비린을 복용하는 C형 간염에 동시 감염되지 않은 환자에 비해 간효소 상승 발생률이 높았다. 동시 감염 환자에서 경구 및 주사 릴피비린의 약동학적 노출은 C형 간염에 동시 감염되지 않은 환자와 유사했다. C형 간염에 동시 감염된 환자에 대해서는 간 기능 모니터링이 권장된다.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에 함유된 다른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CYP3A 효소 유도로 인하여) 릴피비린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이 약의 치료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다음과 같은 약물과 함께 투여해서는 안 된다: 항경련제 카르바마제핀, 옥스카르바제핀, 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항결핵제 리파부틴, 리팜피신, 리파펜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전신성 덱사메타손, 1회 투여는 제외; 세인트 존스 워트 (Hypericum perforatum). 3) 경구 릴피비린을 사용할 때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를 병용 투여하지 않는다.
References
1 Wang R, George N, Ait-Khaled M, et al., Low-level HIV replication for DTG/3TC vs TAF-Based Regimen in TANGO through Week 144
2 Overton E, Richmond G, Rizzardini G, et al., Long-acting cabotegravir + rilpivirine every 2 months: ATLAS-2M Week 152 results. Presented at Conference on Retroviruses and Opportunistic Infections (CROI) February 2022.
3 Lowenthal E, Chapman J, Calabrese K, et al., Adolescent and parent experiences with long-acting injectables in the MOCHA study. Presented at Conference on Retroviruses and Opportunistic Infections (CROI) February 2022.
8 8.Underwood M. et al. ARCHIVED RESISTANCE AND RESPONSE TO <40 C/ML AND TND DTG/3TC FDC AT WEEK 48 IN SAL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