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루마크라스™ (LUMAKRAS™)’ 식약처 허가 획득

암젠,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최초의 표적 치료제

- 루마크라스™,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40여년 만에 최초로 개발된 First-in-Class 표적 치료제 
- CodeBreak100 2상 임상 연구를 기반으로 한 번 이상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KRAS G12C 변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성인 환자 치료에 대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 신속 심사 승인 획득1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KRAS G12C 변이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루마크라스™정120mg(성분명: 소토라십, 이하: 루마크라스™)’가 지난 2월 14일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루마크라스™는 이번 식약처 허가를 통해 이전에 적어도 한 번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KRAS G12C 변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성인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루마크라스™는KRAS G12C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식약처 허가를 받 은 최초의 표적 치료제다.

KRAS는 비소세포폐암을 포함한 여러 암종에서 발견되는 주요 종양 유전자 중 하나로, 비소세포폐암에서는 전체 유전자 변이의 약 25%를 차지할 만큼 폐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다.   

아시아 환자에서는 EGFR 다음으로 흔하게 발생하는 변이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KRAS G12C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표준 치료법에 내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 다른 폐암 환자 대비 수술이나 항암화학요법 치료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여 왔다.이에 지난 40여년 간 KRAS 유전자 변이 표적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시도가 이어졌으나 거듭된 실패로 미충족 수요가 높은 상황이었다.3, 

암젠의 루마크라스™는 폐암 발생에 관여하는 KRAS G12C 돌연변이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최초의 경구용 치료제로서 종양의 성장을 촉진하는 KRAS G12C 돌연변이 단백질을 비활성 상태로 고정해 정상 KRAS 유전자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발암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이번 식약처 허가는 KRAS G12C 변이가 확인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1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CodeBreaK100 2상 임상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은 모두 이전에 진행한 항암화학요법 혹은 면역항암제 치료 이후 재발한 상태였다. 

임상 결과, 루마크라스™ 960mg을 1일 1회 투여 받은 환자군에서 완전관해(CR, Complete Response) 및 부분관해(PR, Partial Response)을 포함한 객관적 반응률(ORR, Objective Response Rate)은 36%(n=124, 95% CI: 28-45)였다.1 또한 루마크라스™ 전체 치료 환자군의 82.3%에서 종양 수축이 관찰됐으며, 반응을 보인 전체 환자의 최대 종양 수축률 중앙값은 60%로 일관되게 높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




삼성서울병원 안명주 교수는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은 새로운 치료 옵션의 발굴이 절실했던 분야로, 환자의 대부분이 항암화학요법과 면역항암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평균 무진행생존기간이 약 4개월에 불과한 데다 다른 유전자 변이와 달리 표적 치료제가 부재했던 치료 영역”이라며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최초의 표적치료제인 루마크라스™의 국내 허가는 환자와 임상 현장 모두가 매우 기다려온 소식으로, 임상 시험에서도 우수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이 확인된 만큼 현장에 도입되면 환자들의 예후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암젠코리아 노상경 대표는 “지난 40여 년 간 신약의 부재로 미충족 수요가 높았던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영역에서 암젠이 최초(first-in-class)로 개발한 표적 치료제인 루마크라스™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 특히, 암젠은 ‘환자를 위한다(To serve patients)’를 전사적 미션으로 삼고 있는 만큼 이번 루마크라스™ 허가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신속 심사 승인 과정을 거쳐 진행되어 환자들에게 보다 빠르게 최신 치료 옵션을 제공하게 되어 기쁘다”며, “그 동안 표적 치료 기회가 없었던 KRAS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루마크라스™가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루마크라스™(LUMAKRAS™)에 대하여

루마크라스™는 암젠이 개발한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제이다. 루마크라스™의 등장은 지난 40여년 간 암 치료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난제 중 하나를 해결했다는 데에 그 의미가 매우 크다.2 루마크라스™는 CodeBreaK100 임상을 통해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하면서, 1일 1회 경구 투여로 KRAS G12C 변이 국소진행성 혹은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빠르고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을 입증했다.  

암젠은 단독요법과 함께 병용요법에 대한 연구도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다. 현재 10가지 이상의 병용요법 연구를 빠르게 진행 중이며, 전 세계적으로 3,000 명 이상의 환자들에게 투여됐다.

루마크라스™는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혜택을 가능한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실시간 항암제 심사(RTOR, Real-time Oncology Review) 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해 신속 심사를 받았으며, FDA가 실시한 ‘프로젝트 오르비스(Project Orbis)의 일환으로 호주와 브라질 허가당국으로부터 루마크라스™ 허가 심사를 받고 있다. 루마크라스™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과정에서도 신속 심사 절차를 거쳐 승인되었다.
 
한편 루마크라스™는 비소세포폐암 외에도 여러 종류의 고형암 치료에서 연구 중이다.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에 대하여

폐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암 사망 원인으로,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으로 인한 사망을 합친 것보다 더 높은 사망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전체 생존율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진행성 단계에 해당하는 환자의 예후는 여전히 불량하며, 전이성 단계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약 7%에 불과하다. 

KRAS G12C는 비소세포폐암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KRAS 유전자 변이로,  비편평 비소세포폐암(non-squamous NSCLC) 환자의 약 13%가 KRAS G12C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차 치료에 실패한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의학적 미충족 수요는 매우 높으나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상황이다. 현재 표준 치료법으로 2차까지 치료를 받은 KRAS G12C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평균 무진행생존기간은 약 4개월로 새로운 치료 대안이 필요하다. 


CodeBreaK 100에 대하여12

암젠 루마크라스™의 CodeBreaK 임상시험은 KRAS G12C 변이를 가진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치료하고, 의학적 미충족 수요(unmet medical need)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됐다.

CodeBreaK 100 임상시험은 이전에 항암화학요법 또는 면역항암제 치료 경험이 있는 KRAS G12C 변이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다기관, 공개표지 1/2상 임상시험으로, 비소세포폐암(NSCLC, Non-Small Cell Lung Cancer)에 대해서는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됐으며, 이 중 124명이 기저상태에서 RECIST 기준으로 측정 가능한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 이 임상의 1차 평가변수는 완전 반응과 부분반응을 모두 포함한 객관적 반응률(ORR)이었으며, 주요 2차 평가변수로는 질병 조절률(DCR) 등이 포함됐다. 


암젠코리아(Amgen Korea)에 대하여

암젠은 골질환, 심혈관질환, 혈액종양/암, 신장질환, 염증질환, 뇌과학, 바이오시밀러 치료제 등을 포함하는 자사의 임상 파이프라인을 발전시키고 중증질환으로 고통 받는 국내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제를 공급하기 위해 2015년 11월 암젠코리아를 설립하였다. 앞으로도 암젠코리아는 생명공학 분야의 일원으로,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여 국내 제약 산업 발전에 기여할 예정이다.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루마크라스™.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2200700 Accessed on February 14 2022
2  Canon J, et al. Nature. 2019; 575: 217–223.
3  Cox, A., Fesik, S., Kimmelman, A. et al. Drugging the undruggable RAS: Mission Possible?. Nat Rev Drug Discov 13, 828–851 (2014). https://doi.org/10.1038/nrd4389 
4  Vogelstein B, Papadopoulos N, Velculescu VE, Zhou S, Diaz LA Jr, Kinzler KW. Cancer genome landscapes. Science. 2013;339(6127):1546-1558. doi:10.1126/science.1235122
5  Maus MK, Grimminger PP, Mack PC, et al. KRAS mutation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and colorectal cancer: implications for EGFR-targeted therapies. Lung Cancer. 2014;83(2):163-167. doi:10.1016/j.lungcan.2013.11.010
6  Pakkala S, Ramalingam SS. Personalized therapy for lung cancer: striking a moving target. JCI Insight. 2018;3(15):e120858. Published 2018 Aug 9. doi:10.1172/jci.insight.120858
7  Li K, Yang M, Liang N, Li S. Determining EGFR-TKI sensitivity of G719X and other uncommon EGFR mutation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erplexity and solution (Review). Oncol Rep. 2017 Mar;37(3):1347-1358. doi: 10.3892/or.2017.5409.
8  Nadal E, et al. J Thorac Oncol. 2014;9:1513-1522.
9  Svaton M, et al. Anticancer Res. 2016;36:1077-1082.
10  Biernacka A, Tsongalis PD, Peterson JD, et al. Cancer Genet. 2016;209(5):195-19
11  LUMAKRAS™ (sotorasib) prescribing information, Amgen.
12  Skoulidis F, et al. N Engl J Med. 2021;384:2371-2381.
13  Hong DS, et al. N Engl J Med. 2020;383:1207-1217.
14  Sung H, et al. CA Cancer J Clin. 2021; 71: 209-249.
15  American Cancer Society. Lung Cancer Survival Rates. 2021. Available at: https://www.cancer.org/cancer/lung-cancer/detection-diagnosis-staging/survival-rates.html. Accessed on January 2022.
16  Arbour KC, et al. Clin Cancer Res. 2018; 24: 334-340.
17  Data on file, Amgen; [Analysis of AACR Genie v8].
18  Spira Al, et al. Lung Cancer. 2021 ;159 :1-9.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