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 및 다발성경화증의 관리와 최신 치료 지견 공유하는 학술의 장 마련
●IL-6 억제제 ‘엔스프링,’ 체내 반감기 연장해 투약 편의성 개선…“급여 조건 등 제도적 개선 필요”
●‘오크레부스’ 조기 사용, 다발성경화증 질병 활성 억제 및 장애 진행 속도 지연에 효과적
●한국로슈 신경과학사업부, “국내 신경면역질환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 지속할 것”
한국로슈(대표이사 이자트 아젬)는 지난 19-20일
양일에 걸쳐 진행된 ‘로슈 NI 서밋(Neuroimmunology Summit) 2024’ 심포지엄을 통해 자사의 신경면역질환 치료제 엔스프링(성분명 사트랄리주맙)과 오크레부스(성분명
오크렐리주맙)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신경면역질환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신경면역질환 중 하나인 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NMOSD) 및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을 주제로 심도 있는 고견을 주고받는 학술의 장으로 마련되었다. 행사는
국립암센터 신경과 김호진 교수와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신경과 신경진 교수가 각각 첫째 날, 둘째 날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심포지엄 첫째 날 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 세션에서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민주홍 교수는 ‘인터루킨-6(IL-6)
억제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의 치료 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민
교수는 “인터루킨-6(IL-6)는 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의
핵심 발병인자로서 혈액-뇌 장벽의 기능을 저하하고 염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치료 시 IL-6 수치를
조절해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장기적인 신경 손상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엔스프링은 IL-6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표적하고
약물을 혈류로 재순환시켜 체내 반감기를 연장하는 독자적인 항체 기술이 적용돼 4주 1회 투여로도 임상적 효과를 지속한다”고 설명했다.
둘째 날 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 세션에서 전남대학교병원 신경과 남태승
교수는 ‘NMOSD를 포함한 자가면역질환의 단일클론항체에 대한 임상 경험’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남 교수는 “작년 엔스프링 급여 이후 국내 환자 케이스도 점차 모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만 현행 급여 기준 상 자가 투여가 가능한 피하주사제임에도 불구하고 4주 1회 병원에 내원해 신경학적 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환자들의 부담이 있는데,
효과적인 치료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의 미충족 수요 해소를 위해서는 적절한 제도적 개선이 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날 참석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현재
엔스프링의 급여기준 중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으로 ‘4주마다 1회 신경학적 검사를 받아야 하는 점(응답자 71%)’이 꼽혔으며, 그 다음으로는 ‘리툭시맙 치료 실패 후에만 급여 적용을 받을 수 있는 점(응답자 29%)’으로 나타났다.
심포지엄 첫째 날 다발성경화증
세션에서는 호주 모나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아네케 반 더 왈트(Anneke Van Der Walt) 교수가
‘다발성경화증에서 고효능 약제의 조기사용 및 호주 진료 현장에서의 오크레부스
경험’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아네케 교수는 “다발성경화증에서 오크레부스와
같은 고효능약제를 조기에 사용한다면 재발 방지를 넘어 질병 활성 자체를 억제하고, 장애 진행 속도를
지연할 수 있다”며, “실제 장기 연구에서 발병 직후 오크레부스로
치료를 시작한 조기 투여군은 고효능약제 치료를 2년 늦게 시작한 환자군 대비, 10년 차까지 지속적으로 개선된 누적 장애를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어서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이은재 교수는 오크레부스의 임상연구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임상적 가치에 대해 소개했다. OPERA
I&II 연구 결과, 오크레부스는 대조군(인터페론 베타-1a)
대비 절반(46% 및 47%) 가까이 낮은 연간
재발률(ARR)을 나타냈다.[i]
특히, 10년 장기 분석 결과에서 확인된 오크레부스 투여군의 연간재발율은 0.016으로, 약 62.5년에 1회 재발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재발 방지에 있어 큰 효과를 보였다.3
둘째 날 다발성경화증
관련 세션에서 아네케 반 더 왈트(Anneke Van Der Walt) 교수는 ‘일차 및 이차 진행형 다발성경화증의 관리 전략 및 환자 케이스’에
대해 발표했다. 오크레부스는 일차 진행형 다발성경화증(PPMS)에서
허가받은 최초의 고효능 약제로 PPMS 환자에서 오크레부스의 효과와 안전성을 연구한 ORATORIO 임상 결과, 오크레부스는 위약 대비 12주 동안 확인된 장애 진행(CDP) 환자 비율을 24% 감소시키며 현저한 장애 억제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ii]
한국로슈 신경과학사업부
고경민 리드는 “이번 ‘로슈 NI서밋’을 통해 대표적인 신경면역질환인 시신경척수염 범주질환과 다발성경화증
두 질환의 효과적인 관리 및 치료법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 분들과 함께 통합적으로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뜻 깊게 생각한다”며 “한국로슈 신경과학사업부는 앞으로도 국내 신경면역질환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i] Hauser, Stephen L et al. “Ocrelizumab versus Interferon Beta-1a in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76,3
(2017): 221-234.
[ii] Montalban, Xavier et al. “Ocrelizumab versus Placebo
in 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76,3 (2017): 209-220.
[i] Uzawa A, et al. Role of inerleukin-6
in the pathogenesis of neuromyelitis optica. Clin Exp Neuroimmunol
2013;4:167-72
[ii] Yamamura T, et al. Trial of
Satralizumab in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N Engl J Med
2019;381:2114–2124
[iii] Hauser, Stephen L et al. “10 Years of Ocrelizumab
Treatment in Multiple Sclerosis: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Clinical Trial
Data.” Presented at the 76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AN), Denver, CO, 13-18 April 2024. S3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