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학술

골수성 혈액암 발생률 증가, 생존율도 향상

국립암센터, 골수성 혈액암 환자 3만 6924건 분석 연구결과



국립암센터(원장 이강현)는 노년 인구의 증가로 우리나라 골수성 혈액암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한 한편 5년 생존율도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박현진 소아청소년암센터장, 이혜원 혈액암센터 전문의 및 원영주 중앙암등록사업부장 연구팀은 국가암등록통계사업 자료를 바탕으로 1999년에서 2012년까지 진단된 골수성 혈액암 36,924건을 분석해 골수성 혈액암이 1999년 인구 10만명당 3.31명에서 2012년 5.70명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2012년 한 해 동안 새롭게 진단된 골수성 혈액암 3,771건을 연령대별로 보면 70대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고,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전체 골수성 혈액암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2001~2005년 43.5%에서 2008~2012년 55.1%로 높아졌다. 세부질환별로는 급성골수성백혈병은 30.7%에서 34.8%로, 만성골수성백혈병은 74.5%에서 85.5%로 향상되었으나 골수형성이상증후군은 45.6%에서 44.0%로 차이가 없었다. 이매티닙을 비롯한 표적치료제의 도입이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생존율을 높인 것으로 분석됐다. 

박현진 센터장은 “기존 국내 암 관련 통계자료에서 호발 고형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혈액암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혈액암의 세부질환별 발생률과 생존율을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 혈액암 관련 정책개발, 암관리사업 평가 및 연구 등에 이 결과가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혈액학회지인 ‘혈액연구(Blood Research)’ 온라인판에 작년 12월 게재됐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