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대표, 이정희)은 ‘콘택’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들에게 다시 다가가기 위해 ‘콘택골드’ 제품패키지를 리뉴얼 했다고 11월 17일 밝혔다. 새롭게 변경된 ‘콘택골드’ 패키지는 브랜드 정체성과 제품명을 강조한 금색을 사용하였다. 또한 제품 패키지 하단에 알약 색상과 동일한 빨간색상으로 포인트를 주었고, ‘콘택’ 패키지의 특징이었던 알약의 시계화를 다시 표현하여 콘택 브랜드의 연속성도 강조하였다. 단지함 내부의 PTP포장도 기존제품과 다르게 금색 바탕에 약을 형상화한 디자인을 넣어 브랜드의 인지도 향상과 디자인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콘택’은 1967년 제품이 발매된 이후 ‘12시간 지속 감기약, 걸렸구나 생각되면 콘택’ 등의 광고를 통해 국내 감기약시장을 석권했던 유한양행의 주력 브랜드였다. ‘콘택골드’는 벨라돈나 알칼로이드,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염산 페닐에프린의 3가지 성분이 이상적으로 배합되어 있으며 재채기, 콧물, 코막힘, 눈물, 인후통, 머리무거움 등 초기감기, 비염, 부비동염에 빠르고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초기 코감기약이다. ‘콘택골드’는 리뉴얼제품 출시 이후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하며 감기약 시장을 공략할
한국얀센, 새로운 기전의 일회용 비강분무용 치료제 얀센은 스프라바토®나잘스프레이(Spravato Nasal Spray, 성분명 에스케타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성인의 치료저항성우울증 치료제로 국내에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스프라바토®나잘스프레이는 최소 2개 이상의 다른 경구용 항우울제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는 성인의 중등도에서 중증의 주요 우울장애(치료저항성우울증) 치료로 경구용항우울제와 병용하여 사용하는 용법으로 지난 6월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스프라바토®의 주성분인 에스케타민은 뇌에서 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로 불리는 글루탐산수용체의 활동을 조절함으로써 신경영양 신호전달을 증가시키고 시냅스 연결을 회복시켜 빠르게 우울증상을 개선한다.4 스프라바토®의 출시에 대해 제니정 한국얀센 대표는 “스프라바토®는 치료저항성우울증 분야에서 최초이자 주요 우울장애분야에서는 30여년만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1,2,3 로, 반세기 넘게 정신건강분야의 발전에 노력해 온 얀센의 노력이 집약된 최신의 결과”라고 밝혔다. 스프라바토®의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은 치료저항성우울증으로 진단된 성인환자 1,600 명 이상
당뇨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올바른 치료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당뇨병 바로 알기'라는 캠페인 취지에 부합한 수상작 선정 한국노보노디스크제약(사장 라나 아즈파 자파)은 11월 14일 ‘세계 당뇨병의 날(World Diabetes Day, WDD)’을 맞아 대한당뇨병학회와 공동으로 진행한 ‘인식 전환을 위한 당뇨병 바로 알기’ 캠페인 송 공모전시상식을 11월 12일 코엑스 광장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당뇨병 및 당뇨 환자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당뇨병 예방 및 관리법을 알릴 수 있는 내용’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공모전에서는 △작곡 및 작사 부문에서 대상, 우수상 각 한 곡, △노래명 및 가사 부문에서대상, 우수상 각 한 곡씩 선정됐다. 작곡 및 작사 부문에서는 서세희씨, 백성훈씨의 ‘Yes or No’가 대상을, 신애진씨, 정세희씨의 ‘우리 함께 이겨내요 당뇨병!’이 우수상으로 선정됐다. ‘Yes or No’는 따라 부르기 쉬운 멜로디로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내용을 전달해 호평을 받았다. 우수상을 수상한 ‘우리 함께 이겨내요 당뇨병!’은 당뇨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과 함께 누구든지 이겨낼 수 있다는 내용을 표현해 높
충남대학교병원 김주옥 교수•중앙대학교병원 박인원 교수 수상호흡기분야학술창달공로 '제42회 유한결핵 및 호흡기학술상'의 영예는 김주옥 교수(충남대 의대 호흡기내과)와 박인원 교수(중앙대 의대 호흡기내과)에게 돌아갔다. 유한양행(대표이사 이정희)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회장 이관호)는 11월13일 오후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130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석상에서 시상식을 갖고 김주옥 교수와 박인원 교수에게 각각 상패, 상금 및 메달을 수여했다. 수상자인 김주옥 교수와 박인원 교수는 탁월한 연구성과로 호흡기분야 의학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지난 1979년 유한양행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제정한 '유한결핵 및 호흡기학술상'은 매년 이 분야의 의학 발전에 공적이 두드러진 의학자에게 수여하는 시상제도로, 40여년이 넘게 호흡기 학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는 평가 속에 국내 호흡기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상으로 자리잡았다.
- 2019년 국내 사망원인 3위 폐렴… 대한감염학회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라인 통해 폐렴구균 백신 접종 권고- 한국화이자제약 ‘세계 폐렴의 날’ 맞아 예방 수칙 ▲손을 자주 씻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나 팔꿈치로 항상 입과 코를 가리기 ▲담배 연기 멀리하거나 금연하기 ▲지속적인 기저질환 관리하기(천식, 당뇨병, 심장병이 있을 경우) 안내 한국화이자제약이 11월 12일 '세계 폐렴의 날(World Pneumonia Day)'를 맞아 폐렴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백신 접종을 통한 폐렴구균 폐렴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에 나섰다. 매년 돌아오는 11월 12일은 ‘세계 폐렴의 날’로, 아동폐렴글로벌연합(The Global Coalition against Child Pneumonia)이 폐렴의 위험성에 대한 이해와 경각심을 높이고, 폐렴의 예방과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제정한 날이다. 국내에서 2015년부터 사망원인 4위에 머무르던 폐렴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까지 4년 연속으로 사망 원인 3위를 기록했다. 폐렴은 바이러스, 세균, 진균(곰팡이) 등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 원인은 대개 흡입에 의해 몸으로 들어오는 질환이다. 그 중 폐렴구균은 국내 성인에
팬데믹 시대 ‘제약주권’ 위한 경쟁력 강화에 ‘한 목소리’정부·산업계·학계 등 전문가 모여 ‘제약강국’ 도약 필요성 강조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국민 건강을 지킬 ‘제약주권’ 확보를 위해서는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전문가들이 의견을 모았다. 11월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와 남인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이 ‘코로나19 국가재난 위기, 의약품 강국 도약의 계기로’를 주제로 공동 주최한 국회토론회에서는 제약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가들의 발표와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의약품 주권·산업 경쟁력 강화 필요성 강조 주제발표에서는 감염병 백신·치료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임상 투명성 확보와 의약품 주권 확보, 제약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등이 강조됐다. ‘필수의약품 수급과 의약품 주권’을 주제로 발표한 박영준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는 “글로벌 시대에 전염력 높은 신종감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국가 차원의 대응이나 의약품 공급 체계의 중요성이 대두된다”며 “필수의약품의 안정적인 수급을 도모하고 공적 역할을 강화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제조’와
•2020년 초, 애브비는 Measure Up 1과 2 연구에서 유파다시티닙(15mg 또는 30mg)가 공통 1차 변수와 모든 2차 변수(p <0.001)를 달성했음을 입증하는 주요 데이터를 발표함1•이전에 보고되었듯, 기존의 린버크 연구와 비교하여 새로운 안전성 위험은 관찰되지 않았음 1-4 애브비가 제29회 유럽 피부과학 및 성병학회(EADV: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온라인 학술대회에서, 유파다시티닙(1일 1회, 15mg 혹은 30mg) 단독 요법으로 아토피피부염에서 피부 개선도와 가려움증 감소가 위약군 대비해 유의하게 개선됨을 보인 최신 분석 데이터를 발표했다.1 이 데이터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및 유럽 의약청(EMA)에 린버크를 중등도에서 중증의 아토피피부염을 앓고 있는 성인과 청소년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허가 신청하는 근거가 된 3상 Measure Up 1 및 Measure Up 2 연구에서 비롯됐다. Measure Up 1, 2 두 연구 모두에서 투약 16주차, 위약군에 비해 두 가지 용량 중 한 가지 용량의 유파다시티닙으로 치료받은 경우, 습진중증도평가지수(Eczema A
90% 환자에서 100% 연골재생 및 5년까지 재생연골 유지 장기 효과 확인카티라이프 치료 1년 후 90% 환자에서 연골 100% 재생효과 입증, 치료 후 5년까지 유의미한 연골재생 및 증상 개선의 장기 효과 입증 1:1 환자맞춤형 세포치료제로 20~30분 짧은 이식수술, 기존 세포치료 옵션 대비 절반 수준인 6주 가량 재활 후 일상 복귀 가능한 가장 진일보한 세포 치료옵션으로 주목 ㈜바이오솔루션(대표 장송선)은 1:1 환자 맞춤형 세포치료제 카티라이프®(성분명: 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연골재생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한 국내 주요 임상 및 5년 장기 추적 관찰 연구 결과가, 11월 8일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된 대한정형외과학회 분과 대한운동계줄기세포재생의학회 제13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추계학술대회 런천 심포지엄에서 카티라이프 임상연구를 주도한 윤경호 교수(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의 카티라이프의 연골재생 효과를 입증한 국내 임상(1상•2상) 연구 결과 등 소개로 이루어졌다. 윤 교수는 해당 연구로 지난 10월 열린 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에 해당하는 학술본상(임상)을 수상한 바 있다. 먼저 발표된 국내 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