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세스 ‘이카리딘’, 머크 ‘IR3535’, 안전한 모기기피제 성분 각광이카리딘, 세계보건기구(WHO)가 모기 전염병 예방책 성분 권고 지난 주말 여수에서 국내 네 번째 지카바이러스 확진 환자가 발생하고, 인제에서 야생 진드기에 물린 여성이 사망하는 사례가 발새하면서 국내에서도 뎅기열, 말라리아 등 전염병 공포가 다시 확산되고 있다. 모기에 의한 질병이 재발함과 동시에 해충이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이 다가오면서 살충제 및 해충 기피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국내 가정용 화학물질 유해성 논란으로 ‘노케미족(No-Chemistry)’을 비롯 친환경 제품 사용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살충 및 해충 퇴치제 선택 시 성분의 안전성을 고려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다. 살충제는 사람이나 농작물에 해가 되는 곤충을 죽이는 효과를 지닌 약제인 반면 해충기피제는 해충이 싫어하는 물질을 사용하거나 후각을 마비시키는 등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인체에 접근하지 못하게 만드는 약제를 말한다. 시중에 다양한 해충 기피제가 판매되고 있는데, 사용된 유효성분에 따라 안전성이나 주의사항이 상이하므로 필요나 기호에 따라 성분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좋다. 해충퇴치제
전자파 및 감전위험성은 이상 없어전자레인지의 가열과 해동 성능이 제품에 따라 차이가 커 구매 시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소음, 소비 전략량도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 전자레인지 시험대상 제품 ] 제조‧판매원(브랜드) 모델명 제조국 정격출력 [W] 용량 [L] 구입가격* [원] ㈜대유위니아 MWA20MW 중국 700 20 58,890 동부대우전자㈜ KR-M203BSW 중국 700 20 68,710 ㈜매직쉐프 MEM-GS20W 중국 700 20 65,400 삼성전자㈜ MS23K3523AW 말레이시아 700 23 107,900 ㈜일렉트로룩스코리아 EMM2322MK 중국 800 23 79,000 ㈜일렉트롬(월풀) MWX209WH 중국 700 20 75,300 LG전자㈜ MW23GD 중국 1,000 23 152,000 SK매직㈜** MWO-20EC9 중국 700 20 69,400 * 온라인 쇼핑몰 구입가격 기준(2017. 1월)임. ** 구. 동양매직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8개 업체의 전자레인지를 대상으로 가열 균일 성능, 해동 성능(해동 온도 적정성, 해동 속도), 소음 등 주요 품질과 안전성(감전 보호, 전
생과일 쥬스 용량 허위 표시·광고에 시정명령, 과징금 26백만원 부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용기, 용량이 1L가 아님에도 ‘1L 생과일 주스’ 로 허위 광고한 쥬씨(주)에 시정명령과 2,600만 원의 과징금 부과를 결정했다. 쥬씨(주)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6월까지 199개 가맹점 메뉴판과 배너에 ‘1L 주스 3,800’, ‘1L 주스 2,800’, ‘생과일 주스 1L 2,800’ 라 광고했다. 그러나 1L 생과일 주스의 실제 용기 사이즈는 830ml였으며, 주스의 용량도 종류에 따라 약 600~780ml에 불과했다. 공정위는 쥬씨(주)에 향후 금지명령과 함께 과징금 2,600만 원 부과를 결정했다. 이번 조치로 음료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용량 관련 정확한 표기를 유도하여 공정 경쟁을 촉진하고, 소비자 피해를 예방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중독검사차량 배치하여 현장검사 등 사전예방 감시체계 가동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여름철을 맞이하여 국민들이 많이 찾는 해수욕장(28개)과 항·포구(55개) 주변의 횟집(센터) 등을 대상으로 6월 19일부터 8월 18일까지 비브리오균 현장 신속검사, 위생점검 등 식중독 사전예방을 위한 특별관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관리에는 6개 지방청과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며, 지방식약청은 신속검사 차량 5대를 권역별로 순환 배치하여 횟집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수족관 물에 대한 비브리오균 오염 여부를 현장에서 신속검사한다. ※ 현장신속검사 : 식중독 검사차량에 탑재된 실시간 유전자 증폭장치(Real-Time PCR)로 비브리오균의 오염 여부를 4시간 이내에 확인 수족관 물 검사결과 비브리오균 유전자가 확인이 되면 관할 지자체에 통보하여 해당 업소의 수족관물은 깨끗한 물로 교체, 칼·도마 등 오염(우려) 조리 기구는 열탕 소독, 판매되는 수산물은 수거·검사 등 예방적 조치를 취한다. 치명율이 높은 비브리오패혈증은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는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므로 수산물의 안전한 구매‧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식품 구입 시 어패류는 신선한 것으로 장
스마트폰 사용이 가성근시의 원인, 시력 이상 느끼면정확한 검진통해 교정시기 놓치지 말아야드림렌즈, 근시 진행 억제 효과 있어…고도 근시로의 진행 막고 눈에 좋은 3가지 영양소 섭취필요 초등학교 1학기에 진행되는 신체검사 시즌이 되면 지난 겨울까지 멀쩡했던 아이의 시력이 급격히 떨어진 것에서 당황하는 부모들이 적지 않다. 흔히 눈은 유전적인 요인이 크다고 생각하지만, 최근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아져 아이들의 시력보호가 쉽지 않다.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만 18~20세까지는 근시가 진행되는데 특히나 시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초등학교 저학년 때 눈 관리에 신경쓰는 것이좋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따르면 2016년 기준, 10-14세 어린이가 23.7%의 근시 유병률을 보였으며, 5-9세 어린이가 19.1%로 두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성장기 아이들이 적절한 시기에 효과적으로 근시를 치료하고 진행을 예방하면 어른이 돼서 더 나은 시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모들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초등 저학년은 본인의 시력에 대한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아이의 시력을 자주 확인해 보자. 가성
선진국에서도 홍역, 메르스 등 감염병 문제는 사회적인 이슈 직장인 김미림씨 (29세/여성)는 지난 5월 황금연휴에 동남아 여행을 다녀왔다. 여행 전 가족들로부터 예방접종을 권유 받았지만 바쁜 업무와 여행 준비로 접종을 못한 채 여행을 떠났다. 아니나 다를까 김씨는 여행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온 일주일 후부터 메스꺼움과 구토, 고열을 앓기 시작했다. 해열제와 소화제로도 증상이 가라앉지 않자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았고 그 결과, A형 간염이 발병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씨의 경우처럼 대부분의 여행자들은 여행 전 해당 국가에 대한 많은 정보들을 꼼꼼히 체크하지만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하지만 여행 전 예방접종을 소홀히 한다면 되려 건강을 잃고 돌아올 수 있다. 보다 건강하고 즐거운 휴가를 위해 여행 전 국가별로 요구되는 예방접종을 미리 확인해보도록 하자. ■ 아프리카, 중남미 - 황열 예방접종 아프리카, 중남미 내 몇몇 국가들은 입국 시 황열 예방접종에 대한 증명서를 요구하고 있어 반드시 여행 전 접종을 받아야 한다. 황열은 모기를 통해 황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발열, 근육통, 두통,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난다. 황열은 사하라사막 남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역주택조합 설립 과정에서 거짓 · 과장 광고로 소비자 피해 발생이 우려돼 소비자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지역주택조합이란 특정 지역에 아파트 등 주택을 짓기 위해 결성되는 조합이다. 해당 지역에 6개월 이상 거주한 무주택자 등을 조합원으로 한다. #A지역주택조합 추진 위원회는 관할 지자체에 지역주택조합 설립 인가, 주택 건설 사업 계획을 승인받지 못했음에도 안내 책자와 현수막에 ‘1500세대’, ‘59㎡, 84㎡’, 등 아파트 규모나 개별 주택의 면적이 확정된 것처럼 광고했다. #B지역주택조합 추진 위원회는 아파트 건축 규모나 동 · 호수가 확정되지 않았음에도 ‘동 · 호수 선착순 지정’ 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ㄱ씨는 지역주택조합에 조합원으로 가입하면서 동 · 호수가 지정된 계약을 맺었으나 사업 추진 과정에서 당초 홍보한 세대수보다 아파트 건축 규모가 축소되어 지정한 동 · 호수를 분양받지 못했다. 이처럼 조합 설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아직 확정되지 않은 단순 예상에 불과한 아파트 조감도, 평면도 등을 사용해 건축물의 규모가 확정된 것처럼 홍보하거나 동 · 호수를 지정해 분양 받을 수 있는 것처럼 광고한다. 지역주택조합이 추진하는 아파트
[ 불공정 약관 조항 시정 전·후 비교 ] 약관 유형 시정 전 시정 후 사업자 책임 면제 ▶ 서비스와 관련한 광범위한 사업자 면책 ▶ 사업자의 고의 · (중)과실로 인한 책임 부담 저작권 귀속 ▶ 회원의 저작권 등 제한 ▶ 회원의 사전 동의를 거쳐 저작물 등 이용 수익금 정산 제한 ▶ 이용 정지, 탈퇴 처리 시 수익금 즉시 소멸 ▶ 수익금 즉시 소멸 조항 삭제 손해 배상 제한 ▶ 회원의 손해 배상 청구 및 사업자 배상 범위 제한 ▶ 손해 배상 책임에 관한 민법 규정 준용 일방적 계약 해지 ▶ 사전 통지없이 이용 제한 및 계약 해지 ▶ 사전 고지, 시정 요청 후 이용 제한 및 계약 해지 개인정보 보호 ▶ 개인정보 보호 관련 사업자 면책 ▶ 사업자의 고의·중대한 과실로 인한 책임 부담 재판 관할 지정 ▶ 서울중앙지법, 본사 소재지 관할 법원 ▶ 당사자 간 합의 또는 민소법 규정에 의함 단기간 공지 ▶ 7일간 공지 후 약관 변경 ▶ 중요한 사항의 변경인 경우, 시행일 30일 전 공지 앞으로 지식 · 재능 공유 서비스 이용자가 허위 자료를 제공해 피해를 줄 경우, 해당 서비스 운영 업체도 일정 부분 책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