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CG와 LH 간 생물학적 기전 차이를 바탕으로 난임 치료 설계 필요성 조명2 ● 저출생 문제 극복 위한 기업의 역할 강조… 머크, 전세계 65개국 전 임직원 대상 난임 치료 비용 지원 등 생식건강 복지 제공 한국머크 헬스케어(대표 크리스토프 하만)는 지난 6월 29일부터 7월 2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41회 유럽생식의학회(ESHRE, European Society of HumanReproduction and Embryology) 연례학술대회에서 머크 생식의학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생식의학 분야의 정밀의학적 진보와 난임 치료 접근성 제고를 위한 통합 전략을 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유럽생식의학회(ESHRE)는 생식의학 및 배아생물학 분야의 연구, 교육, 임상 적용을 촉진하고자 1985년 유럽 생식의학 전문가들에 의해 설립된 국제 학술단체다. 회원 수만 9,000명 이상에 달하며,[1]학술지 발간, 지침 개발, 윤리 기준 수립 등 다방면에서 생식의학 분야의 세계적 기준을 선도하고 있다. 매년 전 세계 연구자, 임상의, 정책 결정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최신 과학적 성과를 공유하고 임상 현장에서의 진료지침을 논의하는 연례학술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
●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대상 국내외 저신장 치료 임상 데이터 및 성장호르몬 치료 전략 논의 ● 특발성·증후군성 저신장증, 성장호르몬 결핍증에 따른 성인 이행기치료까지 폭넓은 주제 다루며 ‘지노트로핀’ 임상적 가치 조명[1],2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과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지난 6월 28일과 29일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최신 지견과 ‘지노트로핀’(성분명 소마트로핀)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지노트로핀 블라섬 심포지엄(Blossom Symposium)’을 성료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저신장증 질환별 최신 임상 데이터 ▲성장호르몬 치료의 소아-성인기 전환시 고려사항 ▲성장호르몬 치료 시 환자와 보호자가 느낄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부담 등의 다양한 주제가심도있게 다뤄졌다. 첫째 날에는 황진순닥터황성장의원 원장이 좌장을 맡아 채현욱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 대상 국내12개 종합병원에서 진행된 지노트로핀 임상 연구a를 발표했다.[i] 채현욱 교수는 7세이후에 치료를 시작한 경우와 비교하여 6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한 소아의 경우 치료 시작부터
● 심장내과, 신장내과, 소아청소년과, 의학유전학과 등 파브리병을 다루는 다양한 분야 전문의 참석 ● 파브리병의 진단과 치료의 최신 지견과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경구용 치료제 갈라폴드의 이점 소개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7월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서울 용산구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 호텔에서 ‘갈라폴드 GENESIS 심포지엄’을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파브리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이 다뤄졌으며 심장내과, 신장내과, 소아청소년과, 의학유전학과등 파브리병을 다루는 다양한 진료과의 전문의들이 참석했다. 이와 더불어 갈라폴드의 최신 임상 결과와함께 심장 및 신장 효과, 안전성, 복약 순응도에 대한 데이터와국내외 다양한 환자 사례가 소개됐다. 1일차 심포지엄에서는 양산부산대병원 의학유전학과 전종근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호주 로얄 퍼스 병원(Royal Perth Hospital) 신장내과마크 토마스(Mark Thomas) 교수, 세종충남대병원소아청소년과 김유미 교수가 연자로 참여했다. 마크 토마스 교수는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에서 1차 치료제로 갈라폴드를 복용한 사례, 효소대체제(ERT)에서 갈라폴드로 전환한 사례, 전형적 파브리병 (cl
● DKMA 제품 포트폴리오 바탕으로 최신 시술 트렌드 공유 ● 새로운스킨부스터 라인 출시로 브랜드 포트폴리오 확장 ● 동국제약은 지난 6월 28일 부산 해운대 시그니엘호텔에서 ‘DKMA 부산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메디컬 에스테틱 브랜드 DKMA(DongKook Medical Aesthetics)의 전략적 제품 포트폴리오를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시술 방법과 적용 전략을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병의원 현장에서의실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행사에서는 분야별실전 경험이 풍부한 미용성형 병원 원장 4인이 연자로 나서 각 제품의 작용기전 및 특성 그리고 다양한케이스에 대한 명확한 시술 방법에 대한 강연을 선보였다. 주요 세션에서는 ▲고점탄성 프리미엄 HA필러 ‘케이블린’ ▲출시 15주년을 맞은 스터디셀러 필러 ‘벨라스트’▲감압건조 제형의 보툴리눔 톡신 ‘비에녹스주’, 그리고 올해 하반기 출시를 앞두고 있는 ▲키토산과 TECA 복합 성분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스킨부스터 라인을 선보이며, 이를활용한 다각도 시술 접근법이 소개됐다. 특히, 새로운 스킨부스터 라인의 주요성분은 키토산, TECA, 비타민B12 등으
● 2024년부터 약학대 학생 대상 인턴십 제도 도입, 올해총 7명 선발 ● 약사 출신 직원들과 바이오제약회사 커리어 멘토링 글로벌 중견 제약바이오 기업인 입센코리아(대표 양미선)가약학대 학생 인턴들과 약사 출신 직원들을 연결하여 바이오제약회사 커리어에 대해 소개하는 멘토링 행사를 열었다. 입센코리아는작년에 처음으로 약학대 심화실습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학생들에게 현장을 경험할 수 있는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올해는 중앙대학교, 차의과대학 및 아주대학교 등에서 총 7명의 약학대 학생 인턴을 선발했다. ‘입센코리아 선배들과의대화’로 이름 붙여진 이번 멘토링 행사에서는, 제약 마케팅, 마켓 액세스, 메디컬, 약물감시등 다양한 부서의 약사 출신 직원들이 바이오제약회사 내에서의 커리어를 소개하고, 약학대 졸업 이후 진로에대한 조언을 이어갔다. 프랑스에 본사를 둔 입센은 1929년 설립되어 약 1백년가까운 기업역사를 지닌 유럽의 대표적 제약기업이다. 최근에는 종양학(oncology),희귀질환(rare disease), 그리고 신경과학(neuroscience)을 3개의 전략적 중점 분야로 설정하고 전세계 1백여개 나라에서 의약품을공급하고 있다. 입센은 ‘환자와
● 국내 최초500여명 규모 초대형 심포지엄 통해 울쎄라피 프라임™의고도화된 기술과 브랜드 철학 조명 ● 실시간 초음파영상 기술로 구현하는 초개인형 맞춤 리프팅, 국내 초음파 리프팅 시장의 새 기준 제시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리딩 기업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는지난 6월 2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차세대초음파 리프팅 기기 ‘울쎄라피 프라임™(Ultherapy PRIME®, 집속형초음파자극시스템 의료기기)의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그랜드 론칭 심포지엄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그랜드 론칭 심포지엄은 울쎄라®의 독자적인기술력을 계승한 울쎄라피 프라임™이 공식적으로 국내에 첫 선을 보이는 자리로, ‘WE LEAD, ThePrime of ALL’을 주제로 진행됐다. 울쎄라피 프라임™이 지닌 임상적 진보와 브랜드철학을 공유하고,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트렌드를 주도하는 한국 시장의 리더십을 조명하려는 취지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최초로 500여 명의 의료관계자가 참석하는대규모 행사로 울쎄라피 프라임™의 브랜드 위상을 재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연자로는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분야의 권위자인 사브리나 파비 박사(Dr.Sabr
● 올해로 8회를 맞이한 VOD 심포지엄, 진단을 통한 환자 삶의 개선과 최신 진단 정보의 확산에 기여 ● 암진단과 치료에서 바이오마커의 실질적 역할 및 확장 가능성 논의 ● 간염, 간암, 여성 암환자 생식 보존 등 다양한 질환 중심의 진단 최신지견 공유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킷 탕)은 지난 6월 25일, 서울시 송파구 소피텔 앰버서더 호텔에서 제8회 VOD(Value of Diagnostics)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밝혔다. VOD 심포지엄은 진단의가치를 조명하며 2017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는 한국로슈진단의 대표 학술행사로, 진단을 통한 환자 삶의 개선과 최신 진단 정보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올해 심포지엄은 ‘암 치료에서 바이오마커의 힘을 활용하여 가능성의 미래를 설계하다(Unlockingthe Power of Biomarkers in Cancer Care: Shaping a Future of Possibilities)’를주제로, 암 진단과 치료에서 바이오마커가 지닌 임상적 가능성과 실제 환자 삶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조명했다. 이번 행사에는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 신명근 교수(전남의대)가 좌장을 맡아, 진단업계와 학계 간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으며
● 기존 강연 형식에서벗어나 토크쇼 형태의 웨비나 통해 의료진 집중도와 몰입감 높여 ● 망막 질환에서테크니스 퓨어See의 임상적 유용성 및 백내장 수술 최신 지견 공유 안과 의료기기 전문기업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대표 성종현)이 백내장 인식의 달을 맞아 지난 6월 19일 의료진 대상 ‘테크니스 퓨어See임상 경험 공유’ 라이브 토크쇼 웨비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매년 6월은 미국실명예방협회가 백내장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환기하기 위해 제정한 ‘백내장 인식의 달’이다.[1],[2] 최근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백내장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3] 환자에대한 질환 인식 향상 뿐만 아니라 백내장 수술에 대한 최신 정보를 의료진에게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 또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은 자사의 백내장 수술용 인공수정체인 ‘테크니스퓨어See(TECNIS® PureSee IOL)’의 임상적 유용성과 백내장 수술에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웨비나를 기획했다. 테크니스 퓨어See는 단초점 비구면 인공수정체(모델명 ZCB00) 수준의 원거리 시력을 유지하면서, 중간 거리 및 근거리시력을 동시에 개선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