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워, 주위에서 잘 살펴야원인에 따른 다양한 치료, 와우 이식도 고려 난청이란 말 그대로 한쪽 또는 양쪽 귀에 생기는 다양한 청력 소실을 의미하며, 그중에서도 노인성 난청은 노화로 인해 청각기관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청력감소를 말한다. 노인성난청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잘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뿐더러, 잘 듣지 못한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환자들이 많다. 노인들에게서 고음 영역에 청력 감소가 나타나고, 소리가 나는 방향을 잘 알지를 못하는 것이 전형적인 증상이며, 65세 이상의 인구의 38% 정도가 노인성 난청으로 추정되고 있다. 말소리는 들려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경우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심각한 장애를 유발한다. 난청은 보통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분류되는데, 노인성 난청은 감각신경성 난청에 해당하며 노화에 따른 와우의 기능 장애로 발생하거나 소리에 의한 자극을 뇌로 전달하는 청신경이나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환자 본인이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전음성 난청과는 달리, 감각신경성 난청의 경우 대개 영구적인 장애가
제4회 ‘메이킹 모어 헬스(Making More Health) 체인지메이커’발굴 프로젝트 공모 시작국내 헬스케어 분야에서 최초 시도된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의 사회공헌활동,펀무브(2015) - 닥터픽(2016) 등 역대 우승자 배출하며 올해 4회 프로젝트 공모 시작최종 우승자에게 프로젝트 지원금 2,000만 원 및국내•외 사회혁신기업가들의 멘토링 및 네트워킹 기회 부여국내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 방안 모색하는 개인 및 단체 누구나 참여 가능,공식 웹사이트 (http://mmh_korea.blog.me)에서 지원서 다운로드,오는 5월 28일까지 이메일 접수 진행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이사 박기환)과 사단법인 아쇼카 한국(대표 이혜영)은 헬스케어 이슈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을 통해, 국내 헬스케어 시스템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갈 잠재적인 사회혁신기업가들을 발굴 및 지원하는 2017년 제4회 ‘메이킹 모어 헬스(Making More Health) 체인지메이커*' 프로젝트 공모를 시작하고, 오는 2017년 5월 28일까지 참가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과 아쇼카 한국이 국내 헬스케어 분야 최초로 시작하여 올해로 4회째를 맞는 '메이킹 모어 헬스(Makin
아이클라섹2.0, 회복기간 이틀로 단축하여 직장인들의 시력교정술 접근성 높여철저한 사전검사 및 시술 후 사후관리가 부작용 최소화, 교정 시력 유지에도 큰 영향 최근 시력교정술의 발달로 수술 이후 빠른 회복이 가능해지면서 바쁜 직장인들에게 주말을 이용한 시력교정술이 인기다. 지금까지는 주로설이나 추석 등의 명절 연휴나 휴가를 따로 내고 시력교정술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아이클라섹2.0이나 스마일라식 등의 등장으로 수술 후 빠른 회복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금요일 저녁시력교정술을 받으면 주말 동안 회복 기간을 거쳐 월요일 출근이 가능하다고 한다. 특히, 기존 라섹 수술의 경우 각막 상피를 제거한 후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술 후 3일간의 보호렌즈 착용이 의무적이었기 때문에 사람마다 통증이나 회복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최소 3일 이상의 회복 기간이 필요했었다. 하지만 이제 아이클라섹2.0의 등장으로 회복기간이 이틀로 줄면서 48시간만에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 아이클라섹 2.0은 무접촉 올레이저 시술로 미세한 손상까지도 줄였으며, 각막 손상면적을 감소시켜 부작용을 덜었다. 또한, 각막지형도에 따라 개인별 맞춤 수술을 진행하여
커피음료 1개에 하루 당 섭취량 절반커피음료 가격 품질 비교정보 결과 커피음료 1개만으로도 하루 당 섭취 권고량의 절반을 섭취하게 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카페인 함량도 제품별로 최대 2.7배 차이가 났다. 소비자시민모임은 19개 커피음료의 영양 성분과 카페인, 안전성 등을 검사했다. 검사 결과, 커피음료 1개당 평균 당류 함량 21.46g으로 WHO 하루 섭취 권고량(50g)의 42.9%를 차지했다. 이는 3g인 각설탕 7개에 해당하는 양으로 커피음료 1개만으로도 하루 섭취 권고량 중 절반의 당을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기존 제품보다 용량이 큰 300ml짜리 4개 제품의 당류 함량은 1개당 25.15g ~ 33.67g으로 하루 섭취 권고량의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ml당 당류 함량은 13.78g ~ 22.45g으로 제품별 최대 1.6배 차이가 났다. ‘조지아 고티카 아로마라떼’가 13.78g으로 가장 낮고, ‘덴마크 커핑로드 카페봉봉'이 22.45g으로 가장 높은 았다. 제품별 200ml당 열량은 77.87kcal ~ 151.64kcal로 최대 1.9배 차이가 났다. ‘맥스웰하우스 콜롬비아나 카페라떼’가 77.87kcal로 가장 낮
규칙적인 생활, 건강한 식습관, 감염병 예방으로 면역력 높여야 아이가 학교에 처음 입학을 하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문제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공동체생활을 하면서 각종 감염병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진다. 아이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면역력이 강해야 한다. 각종 병원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켜주는 면역력은 무엇이며 면역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게 있는지 살펴보자. 면역력은 이물질이나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각종 병원균에 대응하는 힘을 말한다. 몸 안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며 면역력이 강해지면 병원균에 노출되더라도 영향을 덜 받는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감기에 자주 걸리고 눈이나 입에 염증이 잘 생긴다. 배탈이나 설사가 잦은 것도 면역력이 약해졌다는 증거다. ■ 규칙적인 생활리듬을 유지하라 아직 입학을 하지 않았거나 방학기간 불규칙적인 생활을 해온 아이들은 입학이나 새학기의 시작으로 생활리듬에 큰 변화를 갖게 된다. 생활리듬이 깨지면 면역력이 떨어져 크고 작은 질병에 시달리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새학기가 시작되면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얼마만큼 자느냐와 수면패턴도 중요하다. 8시
건조한 바람에 더 심해지는 안구건조증,예방법과 생활습관 개선으로 좋아질 수 있어 맹렬하던 추위가 물러가면서 따뜻한 봄소식은 반갑지만 미세먼지와 황사는 여전히 멀리하고 싶은 불청객이다. 건조한 공기에 미세먼지와 꽃가루 등으로 온몸이 건조해지고 심한 경우 따가움을 호소하는 경우도 늘어가는 계절이 다가오고 있다. 특히 건조한 날씨는 안구 표면의 눈물을 빠르게 증발시켜 우리 눈을 괴롭게 할뿐만 아니라 황사에는 각종 미세먼지 및 중금속 물질이 들어있어 눈처럼 예민한 기관의 경우 심하게는 각막염까지 걸릴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눈물계통의 장애(안구건조증)’ 통계에 따르면 2014년 봄에는 환자수가 약 102만명이었던데 반해 2015년 봄에는 약 105만명, 2016년에는 약 107만명 등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3년 연속으로 봄 초기인 3월에 환자수가 가장 많았던 것을 감안,봄철 안구건조증에 신경을 쓰고 눈 건강을 게을리하면 안된다. 눈깜빡임 없이 10초 못견디면 심각한 안구건조 의심해 봐야!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www.bnviit.com) 류익희 대표원장은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여 눈물 구성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세심하게 살펴보고 관찰하면소아우울증, ADHD 등 다양한 질병 피할 수 있어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입학과 개학시즌이 다가왔다. 어쩔 수 없이 겨울방학과 봄방학동안 다음 학년을 준비하기 위해 많은 아이들이 가족과 보내는 시간보다 선행학습으로 인해 학원 등으로 보내는 시간이 더 많은 게 지금의 상황이다. 하기 싫은 학업으로 인해 어린 나이의 아이라고 하더라도 견디기 어려운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될 수 있고, 이 때문에 정신 건강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특히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나 친구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칫 삐뚤어질 수 있는 아이들에게는 부모들의 관심과 애정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할 수 있다.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정서장애, 학습부진 불러와 과거와는 다르게 현대 아이들에게는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원인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부모들의 욕심이나 가족들의 기대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학업과 성적에 관한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정신과 질환이 발병하는 연령대도 낮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만한 놀이 문화의 부족과 잘못된 해소방법 때문에 2차적인 문제를
트렌드 된 혼밥·혼술, 건강하게 즐기려면! 혼자서 밥 먹기, 혼자 술 마시기가과거엔 처량하게 느껴졌지만최근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대중화되며, 대한민국은 이제 ‘혼밥(혼자 하는 식사)·혼술(혼자 하는 술)’ 열풍이다. 국내 1인 가구의 91.8%가 주로 혼자 밥을 먹고 있는 것1으로 보고되고, 1998년 20대 1인 가구 소비품목 13위에 불과했던 ‘술’이 2014년 2위로 뛰어올랐다. 혼자라서 편하지만 홀로 대충 밥을 해결하고 술을 자주 즐기다 보면 건강을 해치기 쉬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대충 때우기 식의 ‘혼밥’ 비만과 위장 질환 발병 위험 높여, 영양 챙긴 메뉴로 천천히 먹어야 ‘혼밥’은 건강하게 즐기지 않으면 비만과 위장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혼자서 밥을 먹으면 대충 때우기 식의 식사가 되기 쉽기 때문이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 따르면 혼자서 밥을 먹는 사람의 약 55%가 식사를 대충 하거나 인스턴트 식품을 주로 먹는다고 응답했고, 자주 즐기는 식사 메뉴로 라면, 백반, 빵, 김밥, 샌드위치를 손꼽았다.1 최근 간편 식품 시장 규모가 1조를 넘어서며 4년 사이 51% 증가한 것도 이를 반영한다.2다만 이러한 간편식은 탄수화물과 지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