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료된 임상 결과, 만 50세이상 성인에서 접종 후 6~11년 동안 79.7%의 효능확인 ● 최초 접종 후 11년 시점에82.0% 예방 효능 나타나 ● 추적 조사 기간 동안 새로운 안전성 관련 우려사항은 나타나지 않아 GSK는 싱그릭스(Shingrix,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또는 RZV) 최초 접종 후 최대11년까지 장기 추적관찰한 3상 임상 연구인ZOSTER-049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 싱그릭스는 만 50세 이상 성인에서 대상포진에 대한 효능이 10년 이상 유지됨을 입증했다. 본 연구 결과는 4월 27일부터 30일까지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2024유럽 임상미생물학-감염질환학회(ESCMID Global: 舊 ECCMID) 글로벌 학술회의에서 발표될예정이다. 만 5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2건의 3상 임상(ZOE-50 및 ZOE-70)의 연장 연구인 ZOSTER-049에서는 다음과 같은결과가 확인됐다. 백신 접종 후 6-11년의 추적 기간 동안 50세 이상 성인에서 누적된 백신 효능은79.7%로 나타났다(95% CI 73.7–84.6). 50세 이상 성인에서 접종 후 11년시점의 백신 효능은 82.0%로,
● 삼중음성유방암, 췌장암등 난치성 암환자 대상으로 '경구용 니클로사마이드 대사항암제' 임상시험실시 예정 ● 경구용 니클로사마이드 항암제 사업, 현대바이오 신규 자회사에서 진행 현대바이오는 씨앤팜과 공동으로 개발한 '니클로사마이드 기반 경구용대사항암제'를 화학항암제 도세탁셀과 병용투약하여 대표적인 난치암으로 알려진 삼중음성유방암에 대한 전임상을실시한 결과, 도세탁셀 단독 투여군에 비해 병용투약군에서 항암효과가67% 더 뛰어남을 입증했다고 19일 발표했다. 전임상 결과는 SCI급 논문을 통해 발표할 계획이다. 현대바이오는 수십 년 동안의 세포실험을 통해 암세포의 대사과정에 작용하여 각종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밝혀진 니클로사마이드를 경구용 대사항암제로 약물재창출하는 데 성공했다. 대사항암제란 암세포의 고유한 대사기전을 교란시키고 신경전달체계를 차단하여 암세포의 성장과 생존을 억제하는 항암제로, 기존 항암제와 병용투약하면 항암효과가 더 커지는 것이 특징이다. 니클로사마이드는 세포실험 결과 암세포의 대사를 교란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생존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주요 신경전달체계를 차단하여 항암제의 내성 발생을 방지하며, 암줄기세포를억제하여 암의 재발과 전이를 막
세계백신면역연합(GAVI)과 유니세프는 새로운 경구용 콜레라 백신(OCV)인 ‘유비콜-S(Euvichol-S)’가 WHO 사전적격성평가를 통과하여 전 세계 국가에서 출시될 수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 신제품의 사전적격성평가는 콜레라 발병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가운데 제조사인 유바이오로직스가 더 많은양의 백신을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는 데 도움을 주어 공급 확대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번 승인은 2024년에 사용 가능한 경구용 콜레라 백신의 전체 공급을늘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2023년의 3,800만 도즈에비해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약 5,000만 도즈를 비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콜-S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백신구성 요소를 줄인 기존 유비콜-플러스의 단순화된 제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비콜-S는 주요 콜레라 혈청군에 대해 동일하게효과적이며 생산 비용과 복잡성을 낮추어 더 많은 양을 빠르게 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콜레라는 2021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저렴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높은 치사율을 보이고 있다. 많은 발병 건수로 인해 영향을 받은 국가에서는 백신
● 유방암 마우스 모델(4T1)에서TU2218과 anti-PD-1 병용투여 결과, 허가된치료법(화학요법 및 anti-PD-1 병용) 대비 종양성장억제율 유의미하게 개선 (p<0.001) ● 삼제 병용요법(TU2218, 렌바티닙, anti-PD-1) 투약 결과, 대장암 마우스 모델(CT26)에서 완전관해율(CR) 67% 달성 (대조군에서 허가 요법인 렌바티닙과 anti-PD-1 병용 CR 결과는 17% 기록) ▶ 티움바이오 연구원이 AACR 현장에서 참석자를 대상으로 포스터에 있는 TU2218의 실험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티움바이오(KOSDAQ: 321550)가면역항암제 TU2218의 전임상 동물실험 연구포스터를 미국암학회AACR 2024에서 공개했다. TU2218은 면역항암제 활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형질전환성장인자(TGF-ß)’와‘혈관내피생성인자(VEGF)’의 경로를 동시에 차단해 키트루다와 같은 면역항암제의 효능을극대화하는 이중 저해제(dual inhibitor)다. 지난 9일(미국 현지시간기준), 티움바이오는 유방암 모델(4T1 세포주) 및 대장암 모델(MC38 및CT26 세포주) 대상으로 기존 허가
● 개별 부스 열고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관들과 미팅 진행하며 관련 사업화 논의 ● PDO 기반 혁신신약 타깃 발굴 플랫폼 연구결과 2건 포스터 발표, 경쟁력 입증 ▶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이진근 대표(오른쪽) 및 관계자가 자사 부스에서 관람객에게 PDO 기반의 혁신신약 타깃발굴 플랫폼을 소개하고 있다. 그래디언트의 자회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이사 이진근)는 지난 5일부터 10일까지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4)에서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atient-derived organoid, 이하 PDO) 플랫폼을활용한 연구 성과를 포스터 발표하고, 다수의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관들과 관련 사업화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AACR에서 개별 부스를 운영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세계최대 규모의 PDO 뱅킹 및 독자적인 AI 기술을 적용한 PDO 기반의 혁신신약 타깃 발굴 플랫폼을 소개하고 파트너링을 진행했다. 또한회사는 2건의 포스터 발표를 통해 자사 PDO 플랫폼의 종양미세환경모사성을 설명하며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가 구축한 PDO는 임상정보, 유전체 분석(NGS), 약물반응성
● 이전 생물학적 제제 치료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지속적인 증상 개선 효과1 ● 코센틱스 150mg 투여군,ASAS20 및 기타 평가변수에서 일관된 효과 보여1 ● 국제 학술대회 APLAR에서 한국인 환자 대상 첫 분석 데이터 발표1 ▶ 한국노바티스 코센틱스, 한국인 활동성 강직성 척추염 환자 대상으로효과 및 안전성 확인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IL-17A 억제제 코센틱스®(성분명: 세쿠키누맙)가과거 생물학적 제제 치료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한국인 활동성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게서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1 강직성 척추염은 척추에 염증이 발생하여 점차적으로 척추 마디가 굳어지는 진행성 염증성 질환이다.2 한번 진행되면 그 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비가역적인 특성 때문에 강직성 척추염의 치료는초기 단계에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2 코센틱스는 작년 12월 1일부터강직성 척추염 치료 시 두 가지 종류 이상의 비스테로이드항염제(NSAIDs) 혹은 DMARDs로 3개월 이상 치료를 하였으나 치료 효과가 미흡하거나, 상기 약제들의 부작용 등으로 치료를 중단한 중증의 활동성 강직성 척추염 환자를 대상으로
● 앞니, 어금니 등 모든 치아에 미니쉬 적용하는 진료항목 신설 ▶ 강정호 미니쉬테크놀로지 대표(오른쪽 끝)와 응우옌 후이 응옥 빈멕 헬스케어 시스템 부사장(왼쪽 첫번째)이 계약서에 사인하고 있다. 미니쉬테크놀로지가 베트남 최대 민간기업인 빈(VIN)그룹 산하의 빈멕국제종합병원과손잡고 베트남 치과시장에 진출한다. 미니쉬테크놀로지는 11일 하노이 빈멕국제종합병원과 치아복구 솔루션인 ‘미니쉬’를 공급하는 내용의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미니쉬테크놀로지는 미니쉬를 활용한 치료, 기공, 운영 노하우 등을 제공하고 인력을 파견해 현지 의료진을 교육할 예정이다. 빈멕국제종합병원은 손상된 치아를 원래 치아처럼 복구하는 미니쉬를 활용해 앞니부터 어금니까지 모든 치아를 치료하는진료항목을 신설한다. 빈멕국제종합병원은 베트남의 삼성이라 불리는 빈그룹에서 의료사업을 담당하는 빈멕 헬스케어 시스템 소속 종합병원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미니쉬를 도입해 고급 치과 수요를 흡수하고 덴탈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다는계획이다. 아울러 빈멕국제종합병원 등 빈멕 소속 병원 7곳의 미니쉬덴탈클리닉(MMC) 가입도 추진한다. 소속 의사들은 국내에서 열리는 미니쉬아카데미에파견돼 교육을 받을 예정이
● 전체 난소암의 90% 이상 차지하는‘상피성 난소암’…높은 재발률 및 기존 항암제에 대한 내성 극복 위한 신규 치료제 개발경쟁 치열 ● 종양학 분야 국제 학술지에 BBT-877 비임상 연구 결과 게재…최근 본격화한 면역항암 분야 연구와 맞물려 약물 가치 상승 기대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KQ288330)는상피성 난소암에서 오토택신 저해제 BBT-877의 병용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비임상 연구 결과가 종양학분야의 국제 학술지 ‘항암 연구(AnticancerResearch)’에 게재1됐다고11일 밝혔다. 전체 난소암의 약 90%를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은 대개 조기 발견이어려우며, 약 70% 이상의 말기 환자가 약물에 대한 내성등으로 인한 질환 재발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난소암환자의 혈액에서 리소포스파티드산(LPA)이 증가되어 있다는 최근의 보고와 더불어 난소암의 내성 기전에종양줄기세포(cancer stem cells)가 깊게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회사는 체내 리소포스파티드산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의 오토택신 저해제BBT-877을 활용한 상피성 난소암 치료 연구에 착수하게 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