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구강건강을 위한 대학생의 보람찬 행보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8월 28일(수)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대회의실에서 ‘대학생 구강건강 서포터즈’ 해단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학생 구강건강 서포터즈’는 「1차 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2017~2021)」사업의 일환으로, 구강건강의 중요성과 더불어, 올바른 구강관리방법, 정기적인 구강검진 및 예방진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지난 4월 발대식 이후, 총 10팀의 44명 대학생들이 3개월 동안 구강건강 서포터즈로서 활동하였으며, 1기 서포터즈 활동을 공식적으로 종료하는 해단식을 가졌다. 해단식은 10팀의 서포터즈가 각 지역에서 활동한 노력과 보람찬 순간을 나누기 위해 활동영상 상영, 성과보고회 시간이 마련되었으며, 서포터즈의 노고를 격려하고 우수 활동팀에 대한 시상이 진행되었다. 최우수상은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이가튼튼팀(한건우·김민주·김지원·안세은·차주희 학생)이 수상하였고, 우수상은 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가치가팀(김연희·성지원·송문경 학생), 신구대학교 치위생과 하이지니팀(김수지·김지홍·이민정·한솔 학생)이 수상하였다. 최우수 1팀에는 보건복지부장관상과 장학금 20
온라인 영어강의 소비자 만족도,‘정보 및 콘텐츠 품질’ 높고 ‘학습관리’ 낮아 자기계발 등을 위해 수강이 편리한 온라인 영어강의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으나,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소비자에게 선택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지도가 높은 4개 사업자의 온라인 영어강의 서비스에 대한 이용경험자 1,000명의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했다. 소비자 만족도는 온라인 영어강의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상품 특성**, 호감도***의 3개 부문으로 나누어서 평가했다. * 숙련된 직원 보유, 소비자 요구에 대한 대응성 등 서비스 전달과정에 대한 만족도** 학습관리, 정보 및 콘텐츠 품질, 이용편리성 및 혜택 등 서비스 핵심 요소에 대한 만족도*** 소비자가 서비스를 체험하면서 느낀 주관적 감정에 대한 평가로 긍정·부정감정의 정도 【 조사개요 】 o 조사대상 : 온라인 영어강의 서비스(인지도가 높은 주요 4개 사업자*) 이용경험자 1,000명** * 뇌새김, 스피킹맥스, 시원스쿨, 야나두(가나다순)** 업체별 표본수 : 뇌새김(134명), 시원스쿨(406명), 스피킹맥스(1
미국 IDEA, 독일 Red Dot Communication 휩쓸어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의 유승헌 교수 연구실과 신한금융지주가 함께 개발한 금융 어플리케이션인 신한플러스 UX 디자인이 세계적 권위의인 디자인상인 ‘2019 IDEA 디자인 어워드’와 ‘2019 Red Dot 디자인 어워드’를 동시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현재 서비스 중인 ‘신한 플러스’ 어플리케이션은 대다수 금융 고객들이 자신의 자산, 부채, 월별 카드 소비, 투자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워한다는 불편함에 착안하여, 분산된 금융 서비스를 통합하여 직관적으로 제공, 관리해주는 앱이다. 이 앱은 기획단계에서부터 사용자를 위한UX 디자인과 기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결합한 융복합형 디자인 접근을 선보였다. 사용자들은 매월의 자산 관리를 위해 은행이나 카드의 모든 앱을 전부 설치할 필요 없이 신한 플러스 앱 하나만 설치하면 해당 정보들을 간단히 모두 큐레이션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한편, 은행이나 카드 등 금융회사들은 소비자의 타사 금융 활동 정보 접근에 제약이 있어서 고객 확대에 어려움이 있었다. 신한플러스 앱은 이 문제를 은행 고객이 단 하나의 앱만 설치하면 여러 금융 서비스를
재난심리회복 상담활동가, 재난에 대한 이해부터 시뮬레이션까지 교육 받아 8월 24일(토),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는 대한적십자사 재난안전센터에서 상담활동가 대상으로 ‘심리적 응급처치(PFA, Psychological First Aid) 교육’을 실시했다. ‘심리적 응급처치’는 재난 발생 직후 재난경험자들에게 즉각적으로 제공되는 대표적인 재난심리지원 활동으로, 초기 고통을 줄이고 단기적 적응과 장기적 기능회복을 돕는다.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은 재난심리회복 상담활동가들이 심리적 응급처치의 핵심활동을 익히고, 기술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기 위해 기획됐다. 상담활동가들은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을 통해 재난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대응 기술을 학습하며,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실습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행동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신의 대처에 대한 객관적 평가도 가능하다. 이번 교육은 재난현장에 필요한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해 보건복지부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의 지원 연구로 개발됐다.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는 2016년 8월 서울특별시와 서울시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운영사업을 위탁받아 재난심리회복 상담활동가를 모집·양성하고
한국자살예방협회(회장 오강섭, 성균관의대)가 중앙자살예방센터, 중앙심리부검센터,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와 함께 2019년 8월 27일(화),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 / 8월 28일(수), 국회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자살예방’이라는 주제로 제13회 자살예방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행사에는 자살예방유관기관, 민간단체 등 400여명의 관련 전문가와 실무자 및 자살예방에 관심있는 일반인이 참여한다. 과거 우리나라에는 자살예방 전문가나 실무자가 손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물었으나, 전국 지자체 및 중앙정부와 전문가 등 수많은 민간단체들이 관심을 가지고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에 민성호 학술위원장(연세대 원주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은 이번 학술대회가 자살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고 자살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민 모두가 동참하여 주변 이웃들에게 직접 손을 내밀고 우리의 문제로 인식하여 대책을 고민하는 시작이라고 밝혔다. 첫 날 국회자살예방포럼의 활동현황 및 계획을 시작으로 자살예방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접근, 자살시도자 연구현황과 향후 자살예방전략, 청소년의 목소리, 자살에 대한 인문융합적 연구, 자살예방인력 지원방안
신규 정책과제, 법·제도 개선방안 등 제안 모집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은 9월 15일(日)까지 「보건산업 정책 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보건산업 정책 수요조사는 보건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혁신과 성장의 모멘텀을 찾을 수 있는 현장의 정책수요를 체계적으로 발굴하고자 실시된다. 조사는 대학(원)생, 업계 종사자 및 일반 국민 등 일반인 부문과 보건산업 전문가 부문으로 구분하여 진행된다. 이번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된 과제는 진흥원의 정책연구 및 신규정책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정책제안은 진흥원 홈페이지(www.khidi.or.kr) ‘정책제안 등록’ 메뉴*를 통해 9월 15일(日)까지 접수하며, 9월 말 전문가 평가위원회 검토를 거쳐 우수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우수과제 시상 계획 구분 등급 시상내역 일반인 부문 ∙ 최우수상 (1과제) ∙ 우 수 상 (2과제) ∙ 장 려 상 (5과제) ∙ 진흥원장 표창 / 150만원 상금 ∙ 진흥원장 표창 / 각각 100만원 상금 ∙ 진흥원장 표창 / 각각 50만원 상금 전문가 부문 ∙ 우수과제 (3과제) ∙ 각각 300만원 연구비 지원 * 기획연구는 10월 ~ 11월 진행
줄기세포 연구소와 건성 황반변성 치료제 공동개발 착수수포성표피박리증 치료제 개발 추진에 이어 바이오 사업 가속화 유양디앤유는 8월 22일 미국 신경줄기세포 연구기관 ‘Neural Stem Cell Institute(이하 ‘NSCI’)와 건성 황반변성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합작법인 ‘Luxa Biotechnology LLC(이하 ‘LuxaBio’)’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유양디앤유는 건성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에 진출해 바이오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유양디앤유는 이번 계약을 통해 LuxaBio의 50%의 지분을 보유하며, 임상시험을 비롯해 제조, 생산,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망막색소상피 줄기세포(Retinal Pigment Epithelium Stem Cell, 이하 ‘RPE 세포’) 유래 치료제 개발을 주도할 예정이다. RPE 세포 치료제는 안구의 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유효성이 높고, 배아줄기세포나 인간 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 비해 종양원성 위험이 낮다. NSCI는 2007년 미국에서 설립된 최초의 줄기세포 비영리 연구기관으로, 성인 중추신경계(CNS)에서 줄기세포를 최초로 발견한 업적을 바탕으로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