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사망률 폐암제외한 대부분의 암보다 높고 환자개인적 및 사회경제적 의료비부담 막중하지만
환자관리와 연구사업에 대한 지원체계는 걸음마 단계
OECD 국가중 가장 빠른 고령화와 심장질환생존자 증가로 국내심부전부담 급증 예상…
연구회, 의료환경 개선위한 정부차원의 실질적 대책마련 필요성과 방안 제시
대한심장학회산하 심부전연구회(회장 전은석, 이하 연구회)가 24일 급증하고 있는 국내심부전의 관리체계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정책토론회를 가졌다. 국회의원 박인숙의원이 주최하고 바른정당 정병국 당대표, 바른정당 이종구 정책위의장, 국회정무위원회 이진복 위원장, 보건복지부 오제세 의원이 참석한 토론회에서는 심부전환자관리 및 연구사업지원의 실질적인 대책방안에 관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이번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심부전 관리체계 대책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는 최동주 서울의대순환기내과 교수가 ‘심부전의 유병률과 국가관리 중요성’을 주제로 발제를 진행했다. 또한 오대규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이의경 성균관대 약학대 교수 △조동찬 SBS 의학전문 기자 △정욱진 가천의대 심장내과 교수 △강민규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과장 등 총 4명이 지정토론자로 참여했다.
최동주 서울의대 순환기내과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노령화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국내심부전환자의 증가추세를 전망하고 조기진단과 진행방지를 위한 치료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말기심부전에서 1년 사망률이 절반이상에 달할 정도로 사망률이 높고 인공심장이나 심장이식 등 고비용치료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심부전에 대한 빠른 정책적대응을 촉구했다.
첫번째 지정토론자로 나선 이의경 성균관대 약학대 교수는 심부전의 1회 평균 입원비가 400~700만원에 달하고 사망전 1년간 의료비가 약 2,800만원으로 추정되는 등 심부전의 사회적 비용부담이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정욱진 가천의대 심장내과 교수가 ‘심부전관리의 해외사례고찰 및 심부전치료개선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국내심부전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구체적방안을 제시했다.
정교수는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심부전정책지원과 관리사례를 통해 환자들의 치료와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심부전관리개선을 제안했다. 정교수는 이를 위해 ▲심부전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 지원과 관리 ▲국가등록사업 및 지역, 연령별 코호트사업에 대한 계속적 지원 ▲질환규명, 신약, 의료기기 개발에 대한 연구지원 ▲4대 중증질환의 심혈관질환내 심부전 우선 순위향상 ▲심부전관리를 위한 인구거점별 '심부전관리선도센터' 지정 및 지원 등 5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조동찬 SBS 의학전문 기자는 심부전인식제고를 위한 언론의 역할과 방안에 대해, 강민규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과장은 가중되고 있는 심부전부담의 완화와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정부의 입장에 대해 토론을 이어갔다.
‘심부전’은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체내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로, 여러 심장질환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심장질환의 종착역’으로도 불린다. 심부전은 일단 진단받으면 예후가 좋지 않아 폐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암보다 생존율이 낮고 반복적인 입원과 응급실방문으로 인해 의료비부담이 높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호흡곤란, 천명, 부종 등이 나타나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심부전연구회 전은석 회장(성균관의대 순환기내과)은 “심부전의 유병률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지는데, 미국의 경우 전체 심부전 유병률은 2%이지만 이로 인한 의료비부담은 15%에 육박한다. 이는 머지않은 국내 심부전부담을 보여주는 데이터로, 더 늦기 전에 국내 심부전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임상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심부전연구회는 심부전진단, 치료 등에 대한 교육정보 및 임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0여년간 국민건강과 생명향상을 목표로 심부전예방정책을 개발하고 홍보하며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작년 3월에는 국내최초로 진료실정을 반영한 ‘만성심부전 관리지침’을 제정한바 있다.
[참고자료]
1. 심부전이란?
심부전은 심장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해 체내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에 영향을 주는 심근경색, 고혈압 등 심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심장관련 질환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한다. 심부전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호흡곤란이 있으며, 처음에는 운동을 하거나 움직일 때에 나타나지만 질병이 악화되면 밤에 잠을 자다가 갑자기 숨이차 깨기도 하고, 가만히 쉬고 있을 때에도 숨이 가빠진다. 또한 심장이 신체기관에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천명, 부종, 심한 피로감 등의 임상증상도 동반된다. 심장질환의 최종단계에서 나타나는 만큼 진단받았을 때는 예후가 좋지 않고 사망률이 높다. 국내 급성심부전 연구결과를 보면,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중 6.4%가 입원중에 사망하고, 1년후 사망률은 15%, 4년후 사망률은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전의 전세계적인 예후는 더 나빠 5년생존율이 남자는 35%, 여자는 절반에 불과한데 이는 폐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암보다 낮은 수치다.
심부전은 심장질환중에서 의료비가 가장 많이 드는 단일질환이다. 심부전환자 10명중 7~8명은 응급실을 통해 내원했다가 입원해 중환자실에서 집중모니터링을 받기 때문에 전체 심부전으로 인한 의료비중 입원비용이 60~70%를 차지한다. , 최근 국내최초로 시행된 전국 6개종합병원을 대상 ‘국내 급성심부전환자의 의료비용’에 대한 연구결과, 급성심부전환자의 연간의료비는 외래약값을 제외하고 697만원이었고, 입원진료비용이 이중 95%를 차지하는 666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전환자들은 입원후 퇴원하더라도 반복적으로 입원하거나 응급실을 방문하는 등 외래치료과정의 악순환을 장기적으로 반복한다. 최근 발표된 국내 심부전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연구결과에 따르면 심부전환자 10명중 3명~4명(37.4%)은 1년 이내에 심장문제로 재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고령화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심부전환자 및 심부전으로 인한 의료비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질병통계에 따르면 최근 6년간 국내 심부전환자수는 약 21% 증가했고, 진료비부담은 5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의 관리가 중요하다. 계단을 이용하거나 하루 20분이상 걷기 등 꾸준한 운동과 함께 나트륨섭취량을 조절해야 한다. 심장질환의 발병위험을 높여 심부전의 주요원인이 되는 비만, 당뇨, 흡연, 혈압을 꾸준히 조절해야 한다.
2. 대한심장학회 심부전연구회에 대하여
심부전연구회는 심부전과 관련된 진단, 치료, 예방과 관리에 대한 일반교육정보, 과학적 근거와 임상정보를 구축하여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제공하며, 심부전분야의 학술연구의 발전 및 회원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2003년 5월에 발족되었다. 지난 10여년간 지속적인 학술심포지엄을 통하여 심부전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와 임상경험 및 최신정보를 공유하면서 진료와 맞춤예방에 기여해 왔으며, 심부전분야에서의 리더십과 글로벌네트워크를 확립하고 있다. 심부전환자의 총체적 관리를 통하여 심부전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고 홍보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향상시키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나가고 있다. (심부전연구회 홈페이지 :
http://khfs.or.kr/)
References
1 Martin R. Cowie, 2013. Essential of Heart Failure, Wiley Blackwell
2 유병수. 심부전의약물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 81권제 6호. 2011: 716-719
3 해리슨내과학 18판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Chapter 234, MIP
4 DJ Choi et al. Characteristics, outcomes and predictors of long-term mortality for patients hospitalized for acute heart failure. Korean Circ J 2011;41:363-371
5 Heidenreich PA et al. Forecasting the impact of heart failure in the United States: a policy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 Heart Fail 2013;6:606-19
6 Neumann T, et al.Heart failure: the commonest reason for hospital admission in Germany: medical and economic perspectives, DtschArzteblInt 2009;106:269–75.
7 Eugene Kim,et al. Economic Burden of Acute Heart Failure in Korea. 2015 대한심장학회추계학술대회구연발표
8 McMurray J et al. Trends in hospitalization for heart failure in Scotland 1980-1990, Eur Heart J 1993;14:1158–62.
9 Nieminen MS et al. Executive summary of the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heart failure: the Task Force on Acute Heart Failur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Eur Heart J 2005;26:384–416.
10 Cleland JG et al. The EuroHeart Failure survey programme-- a survey on the quality of care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n Europe. Part 1: patient characteristics and diagnosis.Eur Heart J 2003;24:442–63.
11 Stewart S et al. More 'malignant' than cancer? Five-year survival following a first admission for heart failure, Eur J Heart Fail 2001;3:315–22.
12 BS Yoo et al. Survey of Guideline Adherence for Treatment of Systolic Heart Failure in Real World (SUGAR): A Multi-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PLoS One. 2014 Jan 27;9(1):e86596
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행위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