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스, 전 세계 13개국 13,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수면 서베이 결과 발표
대부분 수면을 건강에 영향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나 실제 수면 만족도는 낮아
10명 중 6명은 수면장애 경험… 수면건강 개선 위해 전문 의료진 찾는 노력은 미비
대부분의 한국인은 수면을 전반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수면 건강에 대해 만족하는 사람은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명 중 6명은 수면 장애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위해 수면 전문의를 찾기보다는 온라인 자료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양압기 사용률이 전체 조사국 대비 낮았다.
헬스 테크놀로지 분야 선도 기업 로열 필립스(Royal Phillips, 필립스)는 3월 13일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한국인 1,000명을 포함한 총 13개국 13,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수면 서베이 “모닝콜: 글로벌 수면 만족 트렌드(Wake Up Call: Global Sleep Satisfaction Trends)” 를 발표했다. 이번 서베이에서는 수면 만족도, 수면 개선을 위한 노력, 수면 습관 등 수면 건강 관리 전반에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고 분석했다.
글로벌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 수면을 전반적인 건강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은 수면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인 건강에 있어 식단이나 운동보다 수면을 더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또한 글로벌 전체 응답자의 75%, 한국인의 83%는 숙면을 취하지 못했을 때 일상 생활의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답했다.
한국인 수면 만족도는 40%에 불과
수면 시간 적고 깊이 잠들지 못하는 경향 보여
위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면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현재의 수면 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글로벌 전체 응답자 중 현재 수면 상태에 만족하는 사람은 49%였고, 한국인 응답자는 그보다 적은 40%에 불과했다.
특히, 한국인의 수면 시간은 전체 조사국 중 최하위권이었다. 전 세계 주중 평균 수면 시간은 6.8시간이었지만, 한국인들의 주중 평균 수면 시간은 6.5시간으로 전 세계 평균 수면시간에 비해 더 짧았다. 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22%는 주중 평균 5시간도 못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인의 주말 평균 수면 시간은 7.4시간으로, 평일에 부족했던 잠을 몰아서 자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한국인 응답자의 82%는 수면 중 적어도 한 번은 깬다고 답해 깊이 잠들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수면 직전 또는 직후에 핸드폰을 사용하면 디스플레이의 블루라이트로 인해 호르몬 불균형이 생겨 수면의 질이 떨어지거나 일상 생활이 무기력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 한국인 2명 중 1명은 자기 전이나 일어나자마자 핸드폰을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글로벌 전체 응답 비율인 39%에 비해 높은 수치였다.
글로벌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수면질환 경험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 위한 노력은 부족
글로벌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수면 질환으로 인해 수면 건강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수면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수면 장애는 불면증 (27%), 코골이 (24%), 수면무호흡증 (9%) 순이었다. 한국인도 불면증 (27%), 코골이 (26%), 수면무호흡증 (5%)으로 동일한 순서였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수면 전문 의료 기관을 찾아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하려는 노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를 어디에서 구했느냐고 묻는 문항에서 ‘온라인 검색 엔진을 이용’했다는 비율이 글로벌 전체 응답자는 26%, 한국인 응답자는 20%로 가장 높았다. 반면, ‘수면 관련 전문 의료진에게 문의’했다고 답한 비율은 글로벌 전체 응답자는 10%였고, 한국인은 6%에 불과했다.
특히,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한국인 5명 중 1명은 수면무호흡증 증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표적인 치료법은 양압기다.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한국인 응답자 중 양압기를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25%로, 지난 해(18%)와 비교했을 때 7%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전체 조사국(58%) 평균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했다.
필립스 수면 및 호흡기 케어 사업의 행동변화 글로벌 리더 마크 알로이아(Mark Aloia)박사는 “수면은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하며, “필립스는 종합적인 수면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건강한 수면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을 제시하며 사람들이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필립스 수면 및 호흡기 질환 케어 사업은 업계를 선도하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기업 비전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필립스 글로벌 수면 서베이 결과 및 필립스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필립스 수면케어 웹사이트(www.philips.co.kr/sleep)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자료]
표1 : 글로벌 조사대상국 평균 수면시간
국가
|
수면시간
(1주일간 1일 평균 수면시간)
|
수면시간
(주중 1일 평균 수면시간)
|
수면시간
(주말 1일 평균 수면시간)
|
전체평균
|
7.0
|
6.8
|
7.5
|
일본
|
6.6
|
6.4
|
7
|
영국
|
6.7
|
6.6
|
7
|
대한민국
|
6.8
|
6.5
|
7.4
|
미국
|
6.8
|
6.7
|
7
|
이탈리아
|
6.8
|
6.6
|
7.3
|
호주
|
6.9
|
6.8
|
7.2
|
싱가포르
|
6.9
|
6.7
|
7.5
|
독일
|
6.9
|
6.7
|
7.5
|
인도
|
7.0
|
6.7
|
7.7
|
네덜란드
|
7.0
|
6.9
|
7.4
|
프랑스
|
7.1
|
6.9
|
7.7
|
브라질
|
7.2
|
7
|
7.6
|
중국
|
7.3
|
7
|
8.1
|
[참고자료]
2020 필립스글로벌 수면서베이 주요내용 (한국인 응답결과)
*총32개의 질문중 주요 내용정리
총응답자 : 1,000명
- 남성 498명, 여성 501명, 기타 1명
Q1. 수면이 신체적 건강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십니까?
1. 매우동의 (51%)
2. 동의 (39%)
3. 보통 (7%)
4. 비동의 (3%)
5. 매우비동의 (1%)
Q2. 수면이 정신적 건강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십니까?
1. 매우동의 (51%)
2. 동의 (37%)
3. 보통 (11%)
4. 비동의 (1%)
5. 매우비동의 (0%)
Q3. 아래 항목들이 당신의 건강에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식단 (34.8%)
2. 운동 (28.5%)
3. 수면 (36.7%)
Q4. 숙면을 취하지 못했을 때 일상생활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에 동의하십니까?
1. 매우동의 (36%)
2. 동의 (47%)
3. 보통 (11%)
4. 비동의 (4%)
5. 매우비동의 (2%)
Q5.평균적으로 당신의 수면만족도를 어떻게 평가하시겠습니까?
1. 매우만족 (6%)
2. 만족 (34%)
3. 보통 (27%)
4. 불만족 (26%)
5. 매우불만족 (8%)
Q6. 잠자는중 몇번이나 깨어나십니까?
1. 0회 (18%)
2. 1-2회 (67%)
3. 3-4회 (11%)
4. 5-6회 (3%)
5. 7-8회 (0%)
6. 9-10회 (0%)
7. 11회이상 (0%)
Q7. 침대에서 핸드폰을 무슨 용도로 사용하십니까?
1.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핸드폰을 본다 (53%)
2. 잠들기직전에 핸드폰을 본다 (51%)
3. 밤새 침대옆에서 핸드폰을 충전한다 (49%)
4. 핸드폰의 알람기능을 사용한다 (38%)
5. 동영상/SNS를 보는 등 오락목적으로 핸드폰을 사용한다 (37%)
6. 밤동안 문자나 전화 등에 잠에서 깨어나 회신한다 (14%)
7. 침대에서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는다 (12%)
Q8. 아래중 어떤 항목이 당신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까?
1. 불면증 (27%)
2. 코골이 (26%)
3. 수면무호흡증 (5%)
4. 관절염, 섬유근육통 등의 만성통증 (12%)
5. 교대근무 수면장애 (6%)
6. 하지불안증후군 (4%)
7. 기면증 (4%)
8. 기타 (6%)
9. 위항목중 어떤 것에도 영향을 받고있지 않음 (37%)
Q9. 수면과 수면장애치료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수면을 개선하기 위해 아래 항목중 어떤 자원을 활용해보셨습니까?
1. 구글 등 온라인 검색엔진 (20%)
2. 가족 (17%)
3. 온라인 건강정보 (13%)
4. 친구 (13%)
5. 온라인 포럼 혹은 SNS (12%)
6. 1차 의료기관 의료진 (10%)
7. 약사 (9%)
8. 온라인 퀴즈 (8%)
9. 수면관련 전문 의료진 (6%)
10. 영양사 (5%)
11. 원격의료 프로그램 활용 및 의료진 온라인 상담 (5%)
Q10. 양압기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으십니까?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응답자 비율)
1. 현재 사용하고 있다 (13%)
2. 과거에 사용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12%)
3. 사용해본 적 없다 (75%)
필립스 글로벌수면 서베이
필립스 글로벌수면 서베이는 필립스의 의뢰하에 독립 리서치연구기관인 KJT그룹이2019년 11월 12일부터 12월 5일까지 진행하였다. 해당 서베이는 13개국의 18세 이상 성인 13,0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한국: n=1,000; 네덜란드: n=1,001; 독일: n=1,000; 미국: n=1,001; 브라질: n=1,000; 싱가포르: n=1,000; 이탈리아: n=1,000; 인도: n=1,000; 일본: n=1,001; 영국: n=1,000; 중국: n=1,001; 프랑스: n=1,000; 호주: n=1,000). 서베이는 웹기반 자기기입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국가의 언어로 작성되었다. 비확률적 표본추출 예시가 있었으며, 따라서 오차범위를 정확히 추산할 수 없었다. 가중치변수 등을 포함한 서베이 방법론 전문은 다음 메일주소(meredith.amoroso@philips.com)로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