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생애주기별 난소기능검사, 산전 기형아검사 하모니, 임신중독증 검사 등
주요 검사 인지도 제고 활동 펼칠 계획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조니 제)은 자사의 산전기형아검사 ‘하모니검사’, 난소기능검사(AMH), 임신중독증 검사 등의 여성건강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여성건강 TF팀 HER(Healthcare Empowerment with Roche)팀을 구성하고, 여성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주요 진단검사와 여성 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년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로 1977년 UN이 공식 지정한 기념일로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한 날이다. 최근 여성 인권을 포함한 젠더 불평등 문제가 화제가 되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여성에서 건강불평등에 대한 인식은 낮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건강불평등 문제가 여성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2010년 강조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건강보험 혜택이 남성에 더 집중되어 있어 성별간 건강불평등이 실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국내의 건강보험 보장률을 성 및 연령 구간별로 비교한 자료에서 0-5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보험보장률이 높았고, 비급여 본인 부담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한국로슈진단은 진단분야의 선두주자로서 여성이 주체성을 갖고 올바른 건강 정보를 습득하고 성별에 따른 건강불평등 문제를 해소에 기여하기 위해 여성건강 캠페인 TF팀 ‘HER’를 구성했다. HER팀의 여성건강 포트폴리오로는 산전기형아검사 하모니, 난소기능검사(AMH)와 임신중독증검사가 있다. 이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여성의 청소년기, 가임기, 임신•출산기, 갱년•폐경기 등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 질환 및 진단 검사의 인지도를 높이고,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면서 여성 질환을 예방, 관리, 치료하여 여성이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로슈진단은 여성건강캠페인 일환으로 2017년부터 산전 기형아검사 하모니와 임신중독증 검사에 대한 고위험 산모 대상 산모교실 운영, 기형아 검사에 대한 설문조사, 사내 직원 및 직원 배우자를 대상으로 무료 난소나이검사를 실시한 바 있다. 또한 여성건강 인식 제고를 위해 작년 7월에는 여성건강홈페이지(
http://www.roche-womenshealth.co.kr/)를 오픈하여 온라인에 산재되어 있는 잘못된 건강정보를 바로잡고, 여성에게 신뢰도 높은 건강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는 난소기능검사(AMH), 하모니검사(Harmony), 임신중독증 검사 등 주요 여성 건강 진단 검사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난소기능검사, 하모니검사, 임신중독증 검사 모두 간단한 혈액검사를 통해 진행된다. 난소기능검사는 혈액 속 항뮬러관호르몬(Anti-Mullerian Hormone, AMH ) 수치를 측정하여 다낭성난소증후군,과립막세포종양 같은 질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난임 여부 확인 및 폐경시기 예측에 도움을 주어 난소 기능 평가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하모니 검사는, 태아의 염색체 이상을 확인할 수 있는 산전 기형아검사로, 기존검사와 다른 비침습적 산전 기형아검사(Non-Invasive Prenatal Test, NIPT)이기 때문에 산모와 태아 모두 안전하게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더불어 하모니는 59편의 논문에서 21만 8,000건의 다양한 임상 케이스를 통해 기존 검사방법 대비 높은 검출율과 낮은 위양성률을 확인했다. 임신중독증 검사(sFlt-1/PlGF 테스트 )는 임신 초기에 임신중독증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혈액 속 sFlt-1 농도와 PlGF 농도를 확인하여, sFlt-1/PlGF 비율(ratio)에 따라 임신중독증을 진단할 수 있다.
한국로슈진단 여성건강 캠페인을 이끌고 있는 황예경 본부장은 “여성의 사회적 역할은 확대됐지만여성의 건강 문제에 있어서 불평등이 발생하는 문제에 공감하고 있다”며, “한국로슈진단은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여성 건강검진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 여성들이 자신의 인생을 주도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여성 건강 진단 검사들과 그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국로슈진단 소개
스위스 헬스케어그룹인 로슈의 진단사업부 국내법인으로서 1990년 외국인 투자기업으로 창립되었으며 혈액, 체액, 조직 등을 검사하여 질병의 조기발견, 예방, 진단, 치료 및 모니터링을 위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진단검사사업부(Centralized and Point of care Solutions), 분자진단사업부(Molecular Diagnostics), 조직진단사업부(Tissue Diagnostics), 당뇨관리사업부(Diabetes Care)의 4개 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슈진단은 병원 및 검사실의 대용량 분석용 체외진단시스템, 생명과학분야의 연구용 분석기기 및 시약은 물론 병원의 현장 검사용 기기와 혈당측정기 등 환자자가 검사기기에 이르는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으며 국내는 물론 세계 체외진단(IVD)업계의 선두기업이다.
2019년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Clinical Decision Support, CDS) 본부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임상결정 지원 데이터 플랫폼 네비파이튜머보드를 출시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에 본격 진출했다. 특히, 로슈진단은 로슈제약과의 공조를 통해 개인의 유전적, 조직적 특성을 진단해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환자와 의료진 모두를 위한 맞춤의료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어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한국로슈진단은 아프리카 어린이 돕기 자선 걷기대회, 사회공헌 협약을 통한 국내 저소득층 어린이 지원, 피학대 아동 지원, 소아당뇨환자 지원 등의 꾸준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에이온휴잇(Aon Hewitt)이 선정한 ‘한국 최고의 직장(Best Employer in Korea)’ 본상을 2015년, 2016년, 2017년 3회 연속 수상했으며. , 2019년에는 Great Place To Work Institute주관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기업 대상’을 수상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www.roche-diagnostics.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환자진료비실태조사』통계정보보고서, 2015년도성별연령구간별건강보험보장률, 2018 Dec
2 Elecsys AMH (수허 18-160호)
3 신의료기술평가보고서 HTA-2009-46, 에이엠에이치검사, 2009
4 Clinical Guideline, Nice Feb 2004: Fertility: assessment and treatment for people with fertility problems (AMH standard slide, p4)
5 Thomas W. Kelsey, et al. A Validated Model of Serum Anti-Mu¨llerian Hormone from Conception to Menopause (링크)
6 Harmony IVD Kit: 수허 17-497호
7 Concerto Imager: 수인 17-4716호
8 김건우. J Korean Med Assoc 2015 November; 58(11): 995-1002
10 sFlt-1: 수허 14-2787호, PlGF: 수허 14-2788호
11 Zeisler et al. 20th COGI World Congress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