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총계 | 결과 양성 | 검사 중 | 결과 음성 | ||||
확진자 | 격리해제 | 격리 중 | 사망 | |||||
5. 7.(목) 0시 기준 | 649,388 | 10,810 | 9,419 | 1,135 | 256 | 8,429 | 630,149 | |
5. 8.(금) 0시 기준 | 654,863 | 10,822 | 9,484 | 1,082 | 256 | 8,867 | 635,174 | |
변동 | (+)5,475 | (+)12 | (+)65 | (-)53 | 0 | (+)438 | (+)5,025 |
구분 | 합계 | 서울 | 부산 | 대 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 북 | 경남 | 제 주 | 검역 |
격리중 | 1,082 | 115 | 14 | 404 | 22 | 2 | 2 | 6 | 1 | 130 | 10 | 6 | 13 | 5 | 4 | 107 | 12 | 1 | 228 |
격리해제 | 9,484 | 520 | 123 | 6,277 | 75 | 28 | 38 | 37 | 45 | 538 | 41 | 41 | 130 | 14 | 12 | 1,206 | 105 | 12 | 242 |
사망 | 256 | 2 | 3 | 178 | 0 | 0 | 1 | 1 | 0 | 16 | 2 | 0 | 0 | 0 | 0 | 53 | 0 | 0 | 0 |
합계 | 10,822 | 637 | 140 | 6,859 | 97 | 30 | 41 | 44 | 46 | 684 | 53 | 47 | 143 | 19 | 16 | 1,366 | 117 | 13 | 470 |
신규 | 12 | 0 | 2 | 3 | 0 | 0 | 0 | 0 | 0 | 2 | 0 | 1 | 0 | 1 | 0 | 0 | 0 | 0 | 3 |
해외유입(잠정) | 11 | 0 | 2 | 3 | 0 | 0 | 0 | 0 | 0 | 1 | 0 | 1 | 0 | 1 | 0 | 0 | 0 | 0 | 3 |
지역발생(잠정)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5월 7일 0시부터 5월 8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본부로 신고, 접수된 자료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 신고내역을 해외유입과 이외의 경우로 구분하여 잠정수치를 제시.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구분 | 합계 | 유입국가 | 확인 단계 | 국적 | |||||||
중국 | 중국 외 아시아 | 유럽 | 미주 | 아프리카 | 호주 | 검역단계 | 지역사회 | 내국인 | 외국인 | ||
신규 | 11 | 0 | 8 | 0 | 3 | 0 | 0 | 3 | 8 | 9 | 2 |
누계 | 1,118 | 19 | 151 | 462 | 482 | 3 | 1 | 470 | 648 | 1,010 | 108 |
(1.7%) | (13.5%) | (41.3%) | (43.1%) | (0.3%) | (0.1%) | (42.0%) | (58.0%) | (90.3%) | (9.7%) |



지역 | 확진환자수 | (%) | 인구10만명당 발생률* | 지역 | 확진환자수 | (%) | 인구10만명당발생률* |
서울 | 637 | (5.89) | 6.54 | 경기 | 684 | (6.32) | 5.16 |
부산 | 140 | (1.29) | 4.10 | 강원 | 53 | (0.49) | 3.44 |
대구 | 6,859 | (63.38) | 281.51 | 충북 | 47 | (0.43) | 2.94 |
인천 | 97 | (0.90) | 3.28 | 충남 | 143 | (1.32) | 6.74 |
광주 | 30 | (0.28) | 2.06 | 전북 | 19 | (0.18) | 1.05 |
대전 | 41 | (0.38) | 2.78 | 전남 | 16 | (0.15) | 0.86 |
울산 | 44 | (0.41) | 3.84 | 경북 | 1,366 | (12.62) | 51.31 |
세종 | 46 | (0.43) | 13.44 | 경남 | 117 | (1.08) | 3.48 |
검역 | 470 | (4.34) | - | 제주 | 13 | (0.12) | 1.94 |
|
|
|
| 총합계 | 10,822 | (100) | 20.87 |






○ 감염경로 구분(해외‧지역)에 따른 환자발생 현황(4월 1일 이후)
구 분 | 확진자 | (%) | 사망 | (%) | 치명률(%) | |
계 | 10,822 | (100) | 256 | (100) | 2.37 | |
성별 | 남성 | 4,389 | (40.56) | 133 | (51.95) | 3.03 |
여성 | 6,433 | (59.44) | 123 | (48.05) | 1.91 | |
연령 | 80세 이상 | 488 | (4.51) | 122 | (47.66) | 25.00 |
70-79 | 710 | (6.56) | 77 | (30.08) | 10.85 | |
60-69 | 1,355 | (12.52) | 37 | (14.45) | 2.73 | |
50-59 | 1,957 | (18.08) | 15 | (5.86) | 0.77 | |
40-49 | 1,438 | (13.29) | 3 | (1.17) | 0.21 | |
30-39 | 1,174 | (10.85) | 2 | (0.78) | 0.17 | |
20-29 | 2,967 | (27.42) | 0 | (0.00) | - | |
10-19 | 592 | (5.47) | 0 | (0.00) | - | |
0-9 | 141 | (1.30) | 0 | 0.00) | - |



구분 | 계 | 중증 | ( | % | ) | 위중 | ( | % | ) |
계 | 24 | 5 | ( | 100.0 | ) | 19 | ( | 100.0 | ) |
80세 이상 | 8 | 2 | ( | 40.0 | ) | 6 | ( | 31.6 | ) |
70-79세 | 10 | 2 | ( | 40.0 | ) | 8 | ( | 42.1 | ) |
60-69세 | 3 | 1 | ( | 20.0 | ) | 2 | ( | 10.5 | ) |
50-59세 | 1 | 0 | ( | 0.0 | ) | 1 | ( | 5.3 | ) |
40-49세 | 2 | 0 | ( | 0.0 | ) | 2 | ( | 10.5 | ) |
30-39세 | 0 | 0 | ( | 0.0 | ) | 0 | ( | 0.0 | ) |
20-29세 | 0 | 0 | ( | 0.0 | ) | 0 | ( | 0.0 | ) |
10-19세 | 0 | 0 | ( | 0.0 | ) | 0 | ( | 0.0 | ) |
0-9세 | 0 | 0 | ( | 0.0 | ) | 0 | ( | 0.0 | ) |





확진자수(명) | 여행국 | |
중국 | 19 | - |
중국외아시아 | 151 |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이란, 베트남, 아랍에미리트, 팔라우, 카타르, 터키, 인도, 파키스탄, 쿠웨이트, 타지키스탄 등 |
유럽 | 462 | 영국,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아일랜드, 체코, 독일, 스위스, 포르투갈, 폴란드, 헝가리,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크로아티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스, 러시아, 스웨덴 등 |
아프리카 | 3 | 이집트, 남아공·나미비아·짐바브웨 |
미주 | 482 | 미국, 캐나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페루, 콜롬비아, 칠레, 볼리비아, 우루과이 등 |
호주 | 1 | 호주 |
구분 | 계 | ( | % | ) |
계 | 369 | ( | 100.0 | ) |
80세 이상 | 30 | ( | 8.1 | ) |
70-79세 | 23 | ( | 6.2 | ) |
60-69세 | 39 | ( | 10.6 | ) |
50-59세 | 63 | ( | 17.1 | ) |
40-49세 | 50 | ( | 13.6 | ) |
30-39세 | 49 | ( | 13.3 | ) |
20-29세 | 90 | ( | 24.4 | ) |
10-19세 | 18 | ( | 4.9 | ) |
0-9세 | 7 | ( | 1.9 | ) |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 누적발생 50,000명 이상 국가 및 아시아 주요 국가
(단위: 명)
| 확진자 | 사망자 | 치명률 (%) | 인구10만명당 발생자 수* | ||
누적 | 신규 | 누적 | 신규 | |||
미국 | 1,254,740 | 31,272 | 75,543 | 2,504 | 6.0 | 381.3 |
스페인 | 221,447 | 1,122 | 26,070 | 213 | 11.8 | 477.3 |
이탈리아 | 215,858 | 1,401 | 29,958 | 274 | 13.9 | 364.6 |
영국 | 206,715 | 5,614 | 30,615 | 539 | 14.8 | 308.5 |
러시아 | 177,160 | 11,231 | 1,625 | 88 | 0.9 | 123.1 |
독일 | 169,430 | 1,268 | 7,392 | 117 | 4.4 | 205.6 |
프랑스 | 137,779 | 629 | 25,987 | 178 | 18.9 | 210.3 |
브라질 | 135,106 | 9,888 | 9,146 | 610 | 6.8 | 63.6 |
터키 | 133,721 | 1,977 | 3,641 | 57 | 2.7 | 161.1 |
이란 | 103,135 | 1,485 | 6,486 | 68 | 6.3 | 124.6 |
중국 | 82,886 | 1 | 4,633 | 0 | 5.6 | 5.8 |
캐나다 | 63,895 | 399 | 4,280 | 48 | 6.7 | 171.3 |
페루 | 58,526 | 3,709 | 1,627 | 94 | 2.8 | 177.9 |
벨기에 | 51,420 | 639 | 8,415 | 76 | 16.4 | 443.3 |
싱가포르 | 20,939 | 741 | 20 | 0 | 0.1 | 354.9 |
일본 | 15,547 | 84 | 557 | 6 | 3.6 | 12.3 |
인도네시아 | 12,438 | 367 | 895 | 23 | 7.2 | 4.6 |
필리핀 | 10,004 | 320 | 658 | 21 | 6.6 | 9.3 |
태국 | 2,992 | 3 | 55 | 0 | 1.8 | 4.3 |
베트남 | 271 | 0 | 0 | 0 | 0.0 | 0.3 |
대한민국 | 10,822 | 12 | 256 | 0 | 2.4 | 20.9** |
* 국가별 총 인구수(2019년 기준):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UNFPA, 유엔인구기금)
** 대한민국 2020년 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급성호흡기감염증 감시체계 개요
1.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SARI) 감시
* SARI : Severe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 (사업내용) SARI 환자 발생·사망 양상 및 원인병원체* 파악 등을 위해 입원환자 대상 감시체계 운영
* 호흡기바이러스(8종): 인플루엔자, 코로나, 리노, 아데노, 보카, 메타뉴모, 호흡기세포융합, 파라인플루엔자
세균(4종): 폐렴구균, 마이코플라스마, 레지오넬라, 클라미디아균
- 코로나19 감시 강화를 위해 SARI 참여 의료기관에 코로나19 검사 추가(2.18~)
* 4월16일현재, 신규 SARI환자 중 426명에 대해 코로나19검사 실시하여 29명(6.8%) 양성 확인(기 확진자)
▷ (참여기관) 대학병원급 이상 종합병원
- 현재 운영 중인 중증급성호흡기 감염병 감시체계를 13개소에서 전국 대학병원급 이상 종합병원 42개소 확대(5월9일~)
* 2020년 5월~12월(2019년 사업기간 2020년 5월 8일 종료)
※ WHO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SARI) 정의
① 발열 경험 또는 38도 이상의 고열과 ② 기침이 있으며 ③ 10일 이내 발생
④ 입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
❍ 코로나19 중증환자 임상정보 및 검체 수집
- SARI 감시체계 참여기관의 코로나19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중증환자 임상정보 및 검체 수집
- 주별 폐렴 및 코로나19 환자수, 코로나19 환자의 호흡기치료 수준별 현황 등
* (임상정보) 초기 중증도, 치료내용, 영상소견 등 주요검사 결과, 일자별 임상기록 등
* (검체수집) 감염병연구센터에서 별도 안내 및 검체 수집 학술연구용역 진행 예정
2. 급성호흡기감염증(ARI) 감시
* ARI :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 (사업내용) 급성호흡기감염증의 발생 현황 및 원인병원체* 파악을 위해 입원 및 외래환자 대상 감시체계 운영
* 호흡기바이러스(8종) : 인플루엔자, 코로나, 리노, 아데노, 보카, 메타뉴모, 호흡기세포융합, 파라인플루엔자
세균(2종): 마이코플라스마, 클라미디아균
- 코로나19 발생경향의 변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코로나19 감시 추가(5.3~)
▷ (참여기관) 상급종합병원 포함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및 공공병원 214개소
▷ (감시방법) 전주의 환자수를 매주 화요일까지 신고
- 신고범위 : 환자(확진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급성호흡기감염증) 급성호흡기감염증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급성호흡기감염증의 종류별 임상증상 및 검사기준 참조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임상증상에 관계없이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진단검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전자(PCR) 검사, 바이러스 분리
- 신고내용: 해당표본감시기간의 코로나19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종류별 연령군별 환자수를 총환자수와 외래환자수로 구별하여 신고
- 신고방법: 전주(일요일~토요일)의 환자수를 매주 화요일까지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http://is.cdc.kr)을 이용하여 질병관리본부로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