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막구균성 질환, 국내에선 이름도 생소한 감염병”
대학 기숙사생과 예비 해외 연수생 대상으로 질환 알림 캠페인 필요
사노피 파스퇴르㈜ (대표 밥티스트 드 클라랑스, Baptiste de Clarens, 이하 “사노피 파스퇴르”)의 4가 수막구균 단백접합 백신 ‘메낙트라주(Menactra)’가 지난 5월 28일-6월 2일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막구균성 질환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학생 4명 중 3명은 수막구균성 질환을 ‘들어본 적 없다’고 답해 질환 인지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사노피 파스퇴르가 2020년 5월 28일에서 6월 2일까지 모바일 리서치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국내 대학생1,000명을 대상으로 수막구균성 질환 인지도와 예방 인식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다.1
조사 결과, ‘수막구균성 질환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25%(254명)에 불과했다.1
또한 수막구균성 질환을 들어본 적 있다고 답한 254명 중에서도 절반(50%, 127명)은 질환 명만 알뿐 구체적인 정보는 모른다고 답했고, 76%(192명)은 수막구균성 질환 예방백신이 있다는 사실도 알지 못했다.1
질환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거나 아주 잘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13%(127명)에 그쳤다.1
수막구균성 질환은 증상 발현 후 24시간 이내에 사망할 수 있는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학교, 기숙사 등 다양한 지역에서 많은 사람이 모이는 환경에서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 교육부에서는 대학교 기숙사 입소생을 대상으로 수막구균성 질환에 대한 예방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미국, 캐나다, 호주 등 많은 대학에서도 기숙사 거주 대학생에게 수막구균 예방접종 증명서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대학 기숙사 거주 및 해외 연수 경험이 있는 대학생 578명 중 수막구균성 질환 백신을 접종한 경우는 3%(17명)로 거의 전무해,1 대학생 대상 수막구균성 질환 및 예방에 대해 알릴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막구균 백신 접종 경험이 없거나 기억나지 않는 대학생(981명)을 대상으로 수막구균성 질환과 교육부 백신 접종 권고 사항 등을 확인 후 ‘향후 2년 이내 수막구균 백신 접종 의향’을 물었을 때는 58%(569명)가 ‘접종의향이 있다’고 답해,1 수막구균성 질환에 대해 많이 알리는 것이 예방 실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했다.
사노피 파스퇴르의 밥티스트 드 클라랑스 대표는 “수막구균성 질환은 매우 치명적인 질환으로 기숙사와 같이 여러 사람이 모여 생활하는 공간에서, 또는 유학, 연수 등 해외 교류 시에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며, “그러나 이번 조사결과와 같이 국내에서는 수막구균성 질환 인지도와 예방인식이 크게 낮은 실정이라 감염 위험이 높은 대상에게 질환에 대한 정보 전달이 필요한 상황이다”라며, “사노피 파스퇴르 메낙트라주는 대학생 및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막구균성 질환의 위험성과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는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며, 글로벌 백신전문기업이자 한국사회의 공공보건 파트너로서 사노피 파스퇴르는 앞으로도 국내 감염질환 예방 활동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수막구균성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5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5만명 이상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또래 친구들과의 교류가 활발한 10~20대의 청소년과 젊은 성인의 비중이 높다. 5년 간(2015~2019) 국내 수막구균 감염증 보고 건수(59명)를 연령대별 분석한 결과, 20대가 36%(21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10대(25%, 15명)가 그 뒤를 이었다.9 2019년 한 해 동안 보고된 환자(16명) 중에도 약 69%(11명)가 10~20대에 해당했다.9
수막구균성 질환은 적절한 치료에도 10~14%의 치사율을 보이고, 생존하더라도 11~19%에서 사지괴사, 난청, 신경장애 등 평생 지속되는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2 수막구균 보균자 또는 환자의 재채기, 기침을 통해 나오는 호흡기 분비물에 노출되거나 입맞춤, 컵이나 식기를 공유하는 일상적인 접촉으로도 전염될 수 있다.2 2012년부터 국방부는 신입 훈련병에 수막구균 백신 접종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므로 군입대 경험이 없는 대학생 등은 수막구균 백신 접종 필요성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국내에도 수막구균 백신들이 허가되어 있으며 그 중 메낙트라주는 40년 이상의 수막구균성 질환 백신 개발 역사를 가진 사노피 파스퇴르가 미국에서 생산해 국내 공급하는 4가 수막구균 단백접합 백신으로, 수막구균성 질환의 주요 혈청형 4가지(A, C, W, Y)를 예방한다.
2005년 세계 최초로 미국 FDA 허가 후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서 1억 도즈 이상(2019년 3월 기준) 공급됐으며,11 4가 수막구균 단백접합 백신 중 미국 판매 1위를 차지했다.(IQVIA Global IMS data, 2014년3분기~2019년2분기 기준) 아시아에서는 혈청형 A에 의한 수막구균성 질환이 많이 보고되었으며, 메낙트라주는 4가 수막구균 단백접합 백신 중 생후 9~23개월에서 국내 유일 혈청형 A에 대한 효능 효과를 입증 받았다. 만2세 이상 소아부터 만55세 성인까지는 1회 접종하며, 생후 9~23개월 영유아의 경우 3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13
국내 대학생 대상 수막구균성 질환 및 예방 인식조사 결과 요약1 (N=1,000)
▲ 수막구균성 질환 인지도
(단위: %)(n=1,000) ▲ 수막구균성 질환 인지 정도
(단위: %)(n=1,000)
▲ 수막구균 백신 접종 여부
(단위: %)(n=1,000) ▲ 대학생활 중 기숙사 거주 및 해외연수 경험 여부에 따른 수막구균 백신 접종 여부 (단위: %)
(n=기숙사 거주 및 해외연수 경험 있음578, 기숙사 거주 및 해외 연수 경험 없음 422)
▲ 수막구균성 질환과 교육부 백신 접종 권고 사항 등을 확인 후 향후 2년 내 수막구균 백신 접종 의향
(단위: %) (n=과거 접종자 제외 981) ▲ 수막구균성 질환과 교육부 백신 접종 권고 사항 등을 확인 후 향후 2년 내 수막구균 백신 접종 의향이 없는 이유
(단위: %) (n=접종 의향 없음 47)
사노피 파스퇴르㈜에 대하여
사노피 파스퇴르는 사노피 그룹의 백신 사업부문으로 110년 이상의 오랜 백신 개발 역사를 지닌 세계 최대규모의 백신전문 기업이다. 사노피 파스퇴르 한국법인인 사노피 파스퇴르㈜는 1989년 국내 최초로 인플루엔자 백신 원액을 공급하기 시작하였고 2002년에는 주사형 소아마비 백신을 국내에 최초로 도입하여 현재까지 공급하고 있다. 이 외에 인플루엔자 백신(완제),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뇌수막염 백신, A형 간염 백신, 국내 최초의 청소년 및 성인용 Tdap 백신(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국내 최초의 DTaP-IPV 혼합백신, 국내 최초의 DTaP-IPV/Hib 혼합백신, 4가 단백결합 수막구균 백신, 국내 최초의 베로세포 일본뇌염 생백신 등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About Sanofi

사노피는 인류가 당면한 건강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글로벌 바이오 제약기업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백신과 통증 및 고통을 경감시키는 혁신적인 의약품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소수의 희귀질환 환자뿐만 아니라 수백만의 만성질환 환자 모두를 위해 일하고 있다.
전세계 100개국 10만여 직원과 함께 사노피는 과학적 혁신을 헬스케어 솔루션으로 구현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sanofi.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사노피 파스퇴르-모바일 리서치 오픈서베이. 국내 대학생1,000명 대상 수막구균성 질환 인지도 및 예방 인식 조사 결과(설문기간: 2020년 5월 28일~ 6월 2일)
2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제5판 Chapter25.수막구균(2017)
3 이환종.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es) 감염. 소아감염 제 10 권 제 1 호. 2003
4 교육부. 학생 감염병 예방 위기대응매뉴얼(2016)
5 America College Health Association. Recommendations for Institutional Prematriculation Immunizations
6 Ottawa University. Menigitis Policy and Form
8 유병욱. 뇌수막염 예방접종. Korean J Fam Pract. 2012;2:119-126
9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포털 수막구균성 감염증 연령별 통계
10 J Korean Med Sci 2015; 30: 353-359
11 Sanofi Pasteur Internal Data
12 메낙트라주 국내 제품설명서
13 KIMS 의약정보센터_메낙트라주
15 IQVIA Global IMS audit data(2014.Q3~2019.Q2)
16 Vyse A et al. Meningococcal disease in Asia: an under-recognized public health burden Epidemiol. Infect. (2011), 139, 967–985
17 약학정보원 국내 허가된 ‘수막구균 백신’ 검색 as of April 11,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