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7월 16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4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47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수는 13,612명(해외유입 1,966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48명으로 총 12,396명(91.1%)이 격리해제 되어, 현재 925명이 격리 중이다.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91명(치명률 2.14%)이다.
국내 신고 및 검사 현황(7월 16일 0시 기준, 1월 3일 이후 누계)
구분 | 총계 | 결과 양성 | 검사 중 | 결과 음성 |
확진자 | 격리해제 | 격리 중 | 사망 |
7월 15일(수) 0시 기준 | 1,431,316 | 13,551 | 12,348 | 914 | 289 | 23,297 | 1,394,468 |
7월 16일(목) 0시 기준 | 1,441,348 | 13,612 | 12,396 | 925 | 291 | 23,404 | 1,404,332 |
변동 | (+)10,032 | (+)61 | (+)48 | (+)11 | (+)2 | (+)107 | (+)9,864 |
지역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지역별 확진자 현황(7월 16일 0시 기준, 1월 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서 울 | 부산 | 대 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 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 북 | 경남 | 제 주 | 검역 |
격리 중 | 925 | 154 | 5 | 17 | 29 | 108 | 66 | 2 | 0 | 211 | 11 | 8 | 18 | 15 | 12 | 4 | 15 | 2 | 248 |
격리해제 | 12,396 | 1,286 | 148 | 6,723 | 336 | 63 | 96 | 53 | 50 | 1,165 | 58 | 63 | 167 | 23 | 20 | 1,335 | 134 | 18 | 658 |
사망 | 291 | 9 | 3 | 189 | 2 | 0 | 2 | 1 | 0 | 28 | 3 | 0 | 0 | 0 | 0 | 54 | 0 | 0 | 0 |
합계 | 13,612 | 1,449 | 156 | 6,929 | 367 | 171 | 164 | 56 | 50 | 1,404 | 72 | 71 | 185 | 38 | 32 | 1,393 | 149 | 20 | 906 |
국내발생(잠정) | 14 | 6 | 0 | 0 | 2 | 1 | 1 | 0 | 0 | 3 | 1 | 0 | 0 | 0 | 0 | 0 | 0 | 0 | 0 |
해외유입(잠정) | 47 | 1 | 0 | 2 | 1 | 0 | 0 | 1 | 0 | 18 | 2 | 1 | 0 | 0 | 0 | 0 | 1 | 0 | 20 |
신규 | 61 | 7 | 0 | 2 | 3 | 1 | 1 | 1 | 0 | 21 | 3 | 1 | 0 | 0 | 0 | 0 | 1 | 0 | 20 |
* 7월 15일 0시부터 7월 16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본부로 신고, 접수된 자료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 신고내역을 해외유입과 이외의 경우로 구분하여 잠정수치를 제시.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부산항에 입항(6월26일)한 러시아선박(원양어선, Regul호)에 대해 7월 15일 특별검역절차 및 진단검사 실시 결과, 하선 희망자 7명 중 3명이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접촉자 조사 및 미하선 선원(22명)에 대해서도 진단검사를 실시 중이며, 러시아 입항 선박 중 국내 선상 작업자와 접촉이 많은 선박*에 대해서는 승선검역 시 선원 전수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선원 및 내국인 작업자 간 접촉이 적은 선박의 경우에는 기존대로 유증상자만 진단검사 수행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해외유입 증가*에 대응하여, 확진자의 해외유입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최근 2주간 감염경로별 확진자 발생 현황(7월 3일 0시부터 7월 16일 0시까지 신고된 708명) : 해외유입 357명(50.4%), 국내집단발병 215명(30.4%), 조사 중 62명(8.8%) 등
그간, 코로나19 감염위험도 평가를 통해 방역강화 대상 국가를 지정하여 방역강화 대상 국가에 대해서는 ▴비자와 항공편 제한 등 조치, ▴정기 항공편의 좌석점유율 60% 이하 운항 및 부정기편 일시 중지, ▴ 해당 국가에서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은 입국 시 PCR 음성확인서(출발일 기준 48시간 이내에 발급)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는 조치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해외유입 환자 증가에 대응하여 7월 20일부터 방역 강화 대상 국가를 기존 4개국에서 2개국을 추가 지정하기로 하였다.
한편 7월 24일부터 항공기로 입국하는 외국인 교대선원에 대한 입국절차 및 방역조치 역시 강화한다.
교대선원*의 무사증 입국은 잠정 중지되어, 교대선원 목적의 사증을 발급한 이후 입국할 수 있으며, 항공권 발권 및 입국 시 PCR 음성확인서(출발일 기준 48시간 이내 발급) 제시·제출 역시 의무화할 예정이다.
* 사증면제 협정 및 무사증 합의국 21개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적용되어, 실질적으로 국내에 교대 목적으로 들어오는 거의 모든 선원에 해당
앞으로도 해외 환자 발생 동향과 국내의 해외유입 환자 수를 꼼꼼히 살피는 한편, 정례적인 위험도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며, 해외유입 환자 차단을 위해 적시에 검역과 격리 등 필요한 조치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민들께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모든 위협요소에 대해 신고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안전신문고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안전신문고를 통해 7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915건*의 신고가 접수되었으며, 방역수칙 위반이 505건(55.2%)으로 가장 높았다.
총계 | 안전 신고 | 제안 |
소계 | 방역수칙 위 반 | 행정조치 위 반 | 자가격리 위 반 | 기 타 (불명확) |
915 | 820 | 505 | 40 | 18 | 257 | 95 |
(100%) | (89.6%) | (55.2%) | (4.3%) | (1.9%) | (28%) | (10.3%) |
주요 신고사례로는 ▴게스트하우스에서 거리두기 미준수, 마스크 미착용 상태로 장시간 대화가 이뤄진 경우, ▴안마수련원에서 밀폐된 교실에서 밀집하여 안마 연습한 경우 등이었다.
앞으로도 안전신문고 제도 운영을 통해 방역수칙 준수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한편, 빈번하게 신고된 분야와 시설을 중점 관리함으로써 예방적 방역체계 구축을 기대하며, 최근 방문판매 등 소규모 지역사회 전파가 지속되고 있는 바, 관련 행사를 최대한 자제하되, 진행 시에는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주시고, 방역수칙 위반 등 코로나19 예방 위협요소 발견 시 안전신문고를 통한 국민들의 적극적인 신고*를 요청하였다.
* (신고방법) 안전신문고 앱(안드로이드, IOS) 및 포털(www.safetyreport.go.kr) 에서 바로 코로나19 위반사항 등을 신고할 수 있고, 처리 결과는 핸드폰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알림톡 등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치료제로 특례 수입된 ‘렘데시비르’를 25개 병원에서 57명의 중증환자에 대해 신청하여 현재 57명 모두에게 공급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한 혈장 공여*에 950명의 완치자(추가 참여자 560명)께서 참여의사를 밝혀주셨으며, 현재까지 공여 참여자 중 444명의 혈장모집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 혈장치료제는 완치자의 혈액 속에 포함된 항체 및 면역글로블린을 농축, 제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혈액 필요
이 중 7월 13일(월)부터 7월17일(금)까지 대구·경북 지역 확진자 중 혈장 공여를 모집 중인 분은 500명이며, 현재까지 230명에 대한 혈장모집을 완료하였다.
다시 한 번 혈장 공여에 참여의사를 밝혀주신 완치자분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앞으로도 완치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하였다.
* (참여 의료기관) 고대안산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경북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문의) 콜센터 1522-6487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8일 발표한 바 있는 임상정보 기초분석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확진자의 주요 증상에 대하여 살펴보고, 주의를 당부하였다.
4월 30일까지 격리해제 또는 사망이 확인된 8,976명의 입원ㆍ입소 당시, 코로나19 관련 주요 증상* 중 1개 이상 증상이 있었던 비율은 입원치료자는 73.3%, 생활치료센터 입소자는 35.2%였다.
* 발열, 기침, 객담, 호흡곤란, 인후염, 콧물, 근육통, 피로/권태, 두통, 구토/오심, 설사
입원치료 확진자의 입원 당시 주요 증상은 기침(41.8%), 객담(28.9%), 발열(20.1%), 두통(17.2%)이 많았으나, 근육통(16.8%), 인후염(15.7%), 설사(9.2%)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났다.
[ 입원·입소 확진자의 주요 증상별 비중 ]
주요 증상 | 병원(%) | 생활치료센터*(%) |
기침(Cough) | 41.8% | 15% |
객담(Sputum production) | 28.9% | 9% |
발열(History of fever, ≥37.5℃) | 20.1% | 1.9% |
두통(Headache) | 17.2% | 5.5% |
근육통(Muscle aches/Myalgia) | 16.5% | 1.3% |
인후염(Sore throat) | 15.7% | 6.3% |
호흡곤란(Shortness of breath/Dyspnea) | 11.9% | 1.1% |
콧물(Runny nose/Rhinorrhea) | 11% | 10% |
설사(Diarrhea) | 9.2% | 1.6% |
구토/오심(Vomiting/Nausea) | 4.3% | 0.1% |
피로/권태(Fatigue/Malaise) | 4.2% | 1.9% |
따라서, 발열, 호흡기 증상 외에도 두통, 근육통, 인후염 등의 증상이 조금이라도 있는 경우에는 되도록 외출을 하지 마시고, 집에 머물면서 콜센터(1339, 지역번호+120)나 보건소에 문의하여 진료‧검사를 받을 것과, 의료기관도 환자가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검사를 시행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특히, 의료기관, 교육 시설, 종교 시설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에 종사하시는 분은 다중접촉으로 인한 감염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진단 검사를 받으실 것을 강조하였다.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확진자 일별 추세 (7월 16일 0시 기준, 13,612명)
확진자 지역별 발생현황 (7월 16일 0시 기준, 13,612명)
지역 | 금일신규 | (%) | 확진자누계 | (%) | 인구10만명당 발생률* |
서울 | 7 | (11.48) | 1,449 | (10.65) | 14.89 |
부산 | 0 | (0.00) | 156 | (1.15) | 4.57 |
대구 | 2 | (3.28) | 6,929 | (50.90) | 284.38 |
인천 | 3 | (4.92) | 367 | (2.70) | 12.41 |
광주 | 1 | (1.64) | 171 | (1.26) | 11.74 |
대전 | 1 | (1.64) | 164 | (1.20) | 11.13 |
울산 | 1 | (1.64) | 56 | (0.41) | 4.88 |
세종 | 0 | (0.00) | 50 | (0.37) | 14.61 |
경기 | 21 | (34.43) | 1,404 | (10.31) | 10.60 |
강원 | 3 | (4.92) | 72 | (0.53) | 4.67 |
충북 | 1 | (1.64) | 71 | (0.52) | 4.44 |
충남 | 0 | (0.00) | 185 | (1.36) | 8.72 |
전북 | 0 | (0.00) | 38 | (0.28) | 2.09 |
전남 | 0 | (0.00) | 32 | (0.24) | 1.72 |
경북 | 0 | (0.00) | 1,393 | (10.23) | 52.32 |
경남 | 1 | (1.64) | 149 | (1.09) | 4.43 |
제주 | 0 | (0.00) | 20 | (0.15) | 2.98 |
검역 | 20 | (32.79) | 906 | (6.66) | - |
총합계 | 61 | (100) | 13,612 | (100) | 26.25 |
* 지역별 1월 이후 누적 확진자수 / 지역별 인구(2020년 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 신고 기관 주소 환자수에 대한 발생률로 실제 해당지역 발생률과 차이가 있음
수도권 지역 일별 신규/누적 확진자 현황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 신규 확진자 현황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 누적 확진자 현황
수도권 지역 일별 신규/누적 확진자 현황
서울지역 확진자 현황
인천지역 확진자 현황
경기지역 확진자 현황
대전/충남/검역 일별 신규/누적 확진자 현황
대전지역 확진자 현황
광주지역 확진자 현황
검역 확진자 현황
확진자 성별, 연령별 현황 (7월 16일 0시 기준, 13,612명)
[ 일별 사망자 현황 ]
감염경로
[ 최근 2주간 (7월 3일 0시~7월 16일 0시까지 신고 된 708명) 감염경로 구분 ]
[ 감염경로구분(해외유입, 국내발생)에 따른 전국, 주요지역 일별 신규확진자 현황 (4월 1일 이후) ]
전체
서울
인천
경기
광주
대전
(단위: 명, %)
[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 ]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 누적발생 200,000명 이상 국가 및 아시아 주요 국가
(단위: 명)
| 확진자 | 사망자 | 치명률 (%) | 인구10만명당 발생자 수* |
누적 | 신규 | 누적 | 신규 |
미국 | 3,490,735 | 66,431 | 137,106 | 674 | 3.9 | 1060.7 |
브라질 | 1,966,748 | 39,924 | 75,366 | 1,233 | 3.8 | 926.0 |
인도 | 936,181 | 29,429 | 24,309 | 582 | 2.6 | 68.4 |
러시아 | 746,369 | 6,422 | 11,770 | 156 | 1.6 | 518.7 |
페루 | 337,724 | 3,857 | 12,417 | 188 | 3.7 | 1026.5 |
칠레 | 321,205 | 1,712 | 7,186 | 117 | 2.2 | 1714.9 |
멕시코 | 317,635 | 6,149 | 36,906 | 579 | 11.6 | 240.1 |
남아프리카공화국 | 298,292 | 10,496 | 4,346 | 174 | 1.5 | 513.4 |
영국 | 291,911 | 538 | 45,053 | 85 | 15.4 | 435.7 |
이란 | 264,561 | 2,388 | 13,410 | 199 | 5.1 | 319.5 |
스페인 | 257,494 | 875 | 28,413 | 4 | 11.0 | 554.9 |
파키스탄 | 255,769 | 2,165 | 5,386 | 66 | 2.1 | 125.0 |
이탈리아 | 243,506 | 162 | 34,997 | 13 | 14.4 | 411.3 |
사우디아라비아 | 240,474 | 2,671 | 2,325 | 42 | 1.0 | 705.2 |
터키 | 215,940 | 947 | 5,419 | 17 | 2.5 | 260.2 |
독일 | 200,890 | 434 | 9,080 | 2 | 4.5 | 243.8 |
방글라데시 | 190,057 | 3,163 | 2,424 | 33 | 1.3 | 117.8 |
중국 | 83,612 | 1 | 4,634 | 0 | 5.5 | 5.9 |
인도네시아 | 78,572 | 1,591 | 3,710 | 54 | 4.7 | 29.2 |
카자흐스탄 | 63,514 | 1,759 | 375 | 0 | 0.6 | 341.5 |
필리핀 | 57,545 | 539 | 1,603 | 4 | 2.8 | 53.2 |
싱가포르 | 46,878 | 249 | 27 | 0 | 0.1 | 794.5 |
일본 | 22,890 | 382 | 985 | 1 | 4.3 | 18.0 |
우즈베키스탄 | 14,293 | 421 | 68 | 4 | 0.5 | 43.6 |
키르키스스탄 | 11,977 | 439 | 160 | 11 | 1.3 | 193.2 |
말레이시아 | 8,729 | 4 | 122 | 0 | 1.4 | 26.9 |
태국 | 3,232 | 5 | 58 | 0 | 1.8 | 4.7 |
베트남 | 373 | 1 | 0 | 0 | 0.0 | 0.4 |
대한민국 | 13,612 | 61 | 291 | 2 | 2.1 | 26.3 |
* 국가별 총 인구수(2019년 기준):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UNFPA, 유엔인구기금),
대한민국 2020년 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자료 도표 질병관리본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