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키트루다®’, 비소세포폐암 1차∙호지킨림프종 보험급여 확대




한국MSD(대표 케빈 피터스)는 자사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범위가 2022년 3월 1일부터 비소세포폐암 1차 병용·단독요법 및 호지킨림프종 단독요법까지 확대1된다고 밝혔다. 

2월 25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는 해당 건강보험 사용범위 확대안을 의결했으며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급여개정을 고시했다. 

이에 따라 키트루다는 국내 허가된 면역항암제 중 최초로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에서 급여 적용된다. 전이성/진행성(Stage IV)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부터 PD-L1 발현율 및 조직학적 분류와 관계없이1 모든 환자군을 대상*,‡ 으로 보험급여가 확대된 것으로, 국내 폐암 환자도 첫 치료부터 글로벌 표준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상세 적용 기준은 하단 참고
‡단독요법의 경우 PD-L1 발현율 50% 이상 환자, 병용요법은 PD-L1 음성 환자 포함

또한 ▲자가조혈모세포이식에 재발하거나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2차 이상 또는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 불가능한 호지킨림프종 3차 이상 단독치료에도 보험급여가 적용된다.‡‡ 키트루다는 진행성 재발성인 전형적 호지킨림프종에서 기존의 표준치료였던 브렌툭시맙 베도틴과 직접 비교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최초로 3상 임상에 성공한 면역항암제다. 

‡‡이전 PD-L1 억제제 등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받지 않은 환자에 한함

한국MSD 이희승 대외협력부 전무는 “기다리셨을 환자와 의료진께 키트루다의 급여 확대 소식을 전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지난 4년여간 한국의 환자를 위한 공동의 목표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 보건당국과 심의 및 평가 위원분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전한다”라고 말했다. 

한국MSD 케빈 피터스 대표는 “암 질환은 한국인 사망원인 1위로  수많은 환자와 가족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번 키트루다 급여 확대 소식이 20년 가까이 국내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폐암5과, 젊은 층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호지킨림프종  치료 향상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한다”라며, “이를 위한 우리의 여정은 이제 시작되었으며, 한국의 환자와 가족에게 더 건강한 내일을 선사하기 위해 한국MSD는 앞으로도 의료진, 연구자, 보건당국 등과 함께 보건의료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보험급여 범위 확대에 따른 적용 기준은 ▲페메트렉시드 및 백금 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을 통한 EGFR 또는 ALK 변이가 없는 전이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 ▲카보플라틴 및 파클리탁셀과의 병용요법을 통한 전이성 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 ▲PD-L1 발현 양성(발현 비율≥50%)으로서, EGFR 또는 ALK 변이가 없는 진행성(Stage IV)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1차 치료*,** ▲자가조혈모세포이식에 재발하거나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2차 이상 또는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 불가능한 호지킨림프종 3차 이상 단독치료다.1

*선행화학요법/ 수술 후 보조요법, 근치적 항암화학 방사선요법 치료 종료 후 6개월 이후 재발한 경우 포함
**관해공고요법으로 더발루맙 치료 실패 시 급여 불가함
***백금 항암제는 초기 4주기 병용투여 이후 투여하지 아니함
****페메트렉시드는 최대 2년까지 급여 인정함
*****파클리탁셀과 카보플라틴은 초기 4주기 병용투여 이후 투여하지 아니함






MSD에 대하여 ━ “삶을 위한 발명이 이루어지는 곳, MSD”

MSD는 미국 뉴저지주 케닐워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머크(Merck & Co., Inc.)의 등록 상표다. MSD는 125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생명을 구하고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류를 위협하는 질병의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선도하며 삶을 위한 발명(Inventing for Life)에 매진해왔다. MSD는 의료접근성 향상을 통한 환자와 인류의 건강을 위해 전 세계 보건의료 전문가, 관련 기관 등과 협업하고 있다. MSD는 세계 최고의 연구 중심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을 목표로 한다. 현재 암, HIV 및 에볼라를 포함한 감염질환, 새로운 동물질환 등 사람과 동물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생명을 구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삶을 위한 발명’을 지속할 것이다. 자세한 사항은 www.msd.com, 트위터, 링크드인,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MSD에 대하여

한국MSD는 세계적인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MSD(Merck Sharp & Dohme Corp)의 한국법인이다. 1994년 설립 이래 100개 이상의 혁신적인 의약품백신 및 수준 높은 의학정보를 제공하며 한국인의 질병치료와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국MSD는 ‘삶을 위한 발명’이라는 기업철학의 국내 실현을 책임으로 여기며 한국인의 더 건강한 내일을 위해 전문가, 파트너사, 정부 당국 등과 함께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다. 자세한 정보는 한국MSD 홈페이지(www.msd-korea.com) 및 페이스북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항암화학요법 급여 고시 사항
2  NCCN Guideline NSCLC (2022 V1)
3  John Kuruvilla et al. Pembrolizumab versus brentuximab vedotin in relapsed or refractory classical Hodgkin lymphoma (KEYNOTE-204): an interim analysis of a multicentre, randomised, open-label, phase 3 study. Lancet Oncol 2021; 22:512-24
4  Razan Mohty et al. Latest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classical Hodgkin lymphoma: the era of novel therapies. Blood Cancer Journal (2021) 11:126 ; https://doi.org/10.1038/s41408-021-00518-z
6  보건복지부. 2025년까지 '어디서나 암 걱정 없는 건강한 나라' 만든다 보도자료. Available at: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64800. Accessed at Feb, 2022.
7  Aldin A et al. Interim PET-results for prognosis in adults with Hodgkin lymph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gnostic factor studies (Review).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0, Issue 1. Art. No.: CD012643.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