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키트루다®’, 전이성 식도암 및 위식도 접합부 암 1차 병용요법 적응증 확대

수술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식도암 및 위식도 접합부 암 1차 병용요법 적응증 획득

- 특히, 국내 식도암의 90% 이상인 식도편평세포암   1차 치료에서 면역항암제 최초로 승인
- 기존 항암화학요법 대비 개선된 전체 생존 기간 및 무진행 생존 기간, 객관적 반응률 확인 1




 한국MSD(대표이사 케빈 피터스)는 자사의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3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수술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식도암 및 위식도 접합부 암에서 1차 병용요법으로 적응증을 허가 받았다고 밝혔다.1 특히,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식도편평세포암 1차 치료에서 면역항암제 최초로 허가를 받았다.3,4,5,6   식도편평세포암은 국내 식도암의 90% 이상을 차지한다.2 

허가 사항에 따르면 키트루다는 PD-L1 발현 양성(CPS≥10)으로서,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식도암이나 HER-2 음성인 위식도 접합부 환자의 1차 치료로서 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백금 및 플루오로피리미딘 기반)으로 승인됐다. 1 이로써 키트루다는 생존율이 낮았지만 지난 수십 년간 항암화학요법 외 별다른 1차 치료제가 없었던 전이성 식도암 및 위식도 접합부 암 환자들에게 1차부터 면역항암제라는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적응증 확대는 키트루다의 병용요법(키트루다와 5-FU 및 Cisplatin 병용요법)을 항암화학요법 대조군(5-FU 및 Cisplatin 병용요법)과 비교 평가한 3상 임상연구인 KEYNOTE-590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1





연구 결과, PD-L1 CPS≥10 환자군에서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은 1차 유효성 평가 기준인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OS)과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mPFS)에서 모두 항암화학요법 대조군 대비 우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1

PD-L1 CPS ≥10 환자군에서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의 mOS은 13.5개월(95% CI, 11.1-15.6)로 나타나 항암화학요법 대조군의 9.4개월(95% CI, 8.0-10.7) 대비 개선된 수치를 보이며, 사망 위험률을 38%(HR=0.62 (95% CI, 0.49-0.78); p<0.0001) 감소시켰다.1 mPFS 또한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이 7.5개월(95% CI, 6.2-8.2), 항암화학요법 대조군이 5.5개월(95% CI, 4.3-6.0)로 질환 진행 또는 사망 위험률을 49%(HR=0.51 (95% CI, 0.41-0.65); p<0.0001) 감소시킴으로써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의 우수한 효과를 확인했다.1 2차 유효성 평가 기준인 객관적 반응률(ORR)은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이 51.1%(95% CI, 43.7-58.5)로, 대조군의 26.9%(95% CI, 20.8-33.7) 대비 약 2배 높게 나타났다.1 반응 지속 기간(DoR) 또한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이 10.4개월(1.9 to 28.9+)로 대조군의 5.6개월(1.5+ to 25.0+) 대비 약 2배 길었다.1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키트루다 병용요법은 미국 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에서도 PD-L1 발현 양성(CPS≥10)인 전이성 식도암 환자군에서 1차 치료로 권고(preferred& Category1)되고 있으며,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권위의 국제학술지인 ‘란셋(Lancet)’에 게재됐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선종무 교수는 “식도는 다른 장기와 달리 보호 장막이 없어 암이 다른 부위로 전이되기 쉽고, 원격 전이단계 5년 생존율은 6.6%로 낮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십년간 새로운 1차 치료제의 개발은 성공적이지 못하여서, 효과적인 새 치료옵션이 절실하게 필요했다”며, “키트루다-항암화학요법 병용요법은 수술 불가능∙전이성 식도암 1차 치료에서 항암화학요법 대비 우수한 생존기간 개선과 반응률을 보였기 때문에, 이번 키트루다 병용요법은 전이성 식도암 환자에게 새로운 1차 표준치료요법으로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8”고 말했다.





한국MSD 항암제 사업부 김성필 전무는 “이번 적응증 확대로 새로운 1차 치료 옵션을 간절히 기다렸던 한국의 전이성 식도암 환자와 의료진에게 키트루다의 치료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의미 있고 기쁘게 생각한다”며, “한국MSD는 환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앞으로도 키트루다를 통해 식도암을 비롯한 여러 암종에서 미충족 의학적 수요를 해결하고 환자들의 생존 연장 혜택을 널리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2021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9년 우리나라에서 발병한 254,718건의 암 중 식도암은 2,870건(약 1.1%)으로 나타났다.  식도암은 위치에 따라 경부식도암, 흉부식도암, 위식도 접합부 암으로 나눌 수 있으며,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증상이 발현된 경우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원격 전이단계 5년 생존율은 6.6%에 그치고9 수술 후 1~2년 사이에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  치료가 까다로운 암으로 꼽혀 왔다.


 
KEYNOTE-590에 대하여1

KEYNOTE-590은 이전에 전신 항암화학요법 경험이 없는 없는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식도암 또는 위 식도 접합부암 환자 749명을 대상으로 키트루다 병용요법과 기존 항암화학요법(5-FU 및 시스플라틴 단독요법)과 비교한 무작위, 이중맹검, 3상 임상시험이다.

키트루다 투여군은 매 3주마다 키트루다를 200mg과 함께 플루오로우라실(5-FU) 800mg/m2과 시스플라틴80mg/m2을 투여 받았으며, 대조군은 매 3주마다 플루오로우라실(5-FU) 800mg/m2과 시스플라틴80mg/m2 단독요법을 투여 받았다. 본 연구의 1차 유효성 평가 기준은 전체 생존기간(OS)과 무진행 생존기간(PFS)이었으며, 2차 유효성 평가 기준은 객관적 반응률(ORR)과 지속 반응 기간(DOR)이었다.

연구 결과, 키트루다는 PD-L1 발현 CPS≥10인 환자에서의 위약군 대비 전체 생존 기간 중앙값(mOS)과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mPFS) 연장 효과를 입증했다.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의 mOS은 13.5개월(95% CI, 11.1-15.6)로 나타나 항암화학요법 대조군의 9.4개월(95% CI, 8.0-10.7) 대비 개선된 수치를 보였으며, mPFS 또한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이 7.5개월(95% CI, 6.2-8.2), 항암화학요법 대조군이 5.5개월(95% CI, 4.3-6.0)로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의 우수한 효과를 확인했다. 2차 유효성 평가 기준인 객관적 반응률(ORR)은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이 51.1%(95% CI, 43.7-58.5)로, 대조군의 26.9%(95% CI, 20.8-33.7) 대비 높게 나타났다. 반응 지속 기간(DoR) 또한 키트루다 병용요법군이 10.4개월(1.9-28.9+)로 대조군의 5.6개월(1.5+-25.0+) 대비 높았다.


MSD에 대하여 ━ “삶을 위한 발명이 이루어지는 곳, MSD”

MSD는 130년 동안 ‘생명을 구하고 삶을 개선한다’는 사명을 추구하며, 전 세계 사람들의 삶에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혁신 의약품, 백신을 개발해왔다. MSD는 의료접근성 향상을 통한 환자와 인류의 건강을 위해 전 세계 보건의료 전문가, 관련 기관 등과 협업하고 있다. 현재 암, HIV 및 에볼라를 포함한 감염질환, 새로운 동물질환 등 사람과 동물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www.msd.com, 트위터, 링크드인,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MSD에 대하여

한국MSD는 세계적인 헬스케어 기업 MSD(Merck Sharp & Dohme Corp)의 한국법인이다. 1994년 설립 이래 100개 이상의 혁신적인 의약품백신 및 수준 높은 의학정보를 제공하며 한국인의 질병치료와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국MSD는 ‘삶을 위한 발명’이라는 기업철학의 국내 실현을 책임으로 여기며 한국인의 더 건강한 내일을 위해 전문가, 파트너사, 정부 당국 등과 함께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다. 자세한 정보는 한국MSD 홈페이지(www.msd-korea.com) 및 페이스북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키트루다 국내 허가사항 
2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식도암.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277&menu_seq=4282
3  니볼루맙 국내 허가사항 (2021-06-10)
4  아테졸리주맙 국내 허가사항 (2021-04-15)
5  아벨루맙 국내 허가사항 (2021-08-05)
6  더발루맙 국내 허가사항 (2020-06-08)
7  NCCN Guidelines Version 1. 2022 Esophageal and Esophagogastric Junction Cancers
8  Jong-mu Sun et al. Pembrolizumab plus chemotherapy versus chemotherapy alone for first-line treatment of advanced oesophageal cancer (KEYNOTE-590): a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phase 3 study. The Lancet. VOLUME 398, ISSUE 10302, P759-771, AUGUST 28, 2021
9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식도암.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277&menu_seq=4296
10  국립암센터. 2019년 암등록통계 참고자료. Available at: https://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57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11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식도암.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277&menu_seq=4288
12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식도암.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4277&menu_seq=4295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