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의료기기

‘아큐-첵 가이드+패스트클릭스’ 패키지 출시

로슈진단, 혈당 체크를 위한 완벽 조합

ISO 국제기준을 상회하는 10/10 accuracy의 정확성을 제공하는 
가이드 혈당측정기와 6번까지 채혈이 가능한 패스트클릭스 채혈기의 완벽 조합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조니 제)의 혈당측정기 브랜드 ‘아큐-첵’이 높은 정확성을  갖춘 가이드 혈당측정기와 1개의 드럼 장착 시, 6번까지 채혈이 가능한 패스트클릭스 채혈기가 세트로 포함된 패키지 제품을 출시한다.

2019년말 패스트클릭스 출시 이후, 소비자들의 요청을 반영한 제품으로, 패스트클릭스 채혈기가 포함된 가이드 혈당측정기 세트를 출시하여 패스트클릭스 채혈기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도록 했다. 





2017년 출시한 가이드 혈당측정기는 국제표준화기구 ISO의 15197:2013 기준을 상회하는 정확성을 자랑한다. 혈당측정기의 정확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 결과에 따르면, 높게 측정된 부정확한 혈당측정값은 부정확한 인슐린 용량 계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혈당측정값의 오차 발생률을 감소시키면, 저혈당을 놓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ISO 15197:2013의 혈당측정기 정확도 기준은 15/15 accuracy(정확성)으로, 실제 혈당수치가 60mg/dL 일 때, 저혈당을 놓칠 수 있는 가능성이 100번 측정 중 4번으로 4%의 가능성을 뜻한다. 아큐-첵 가이드 혈당측정기는 ISO의 기준을 뛰어 넘는 10/10 accuracy(정확성)을 제공하여, 100번 측정 중 1번의 저혈당을 놓칠 수 있는 1% 의 높은 정확성을 입증했다.

또한, 시험지 투입구에 빛이 들어와 어두운 곳에서도 언제든지 혈당 측정이 가능하고, 시험지를 제거할 수 있는 버튼이 있어 시험지를 만지지 않고도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닥터다이어리’ 앱과 블루투스로 연동해 혈당 데이터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점 역시, 아큐-첵 가이드 혈당측정기의 강점이다. 

패스트클릭스 채혈기 또한, 기존 소프트클릭스(28G) 보다 얇아진 채혈침 두께(30G)로 한 개의 드럼 장착 시, 6번까지 채혈이 가능해 외출 시, 매번 채혈침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더불어, 채혈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채혈 시, 레버를 통해 새로운 침으로 교체되기 때문에 채혈침에 손이 찔릴 위험이 크게 줄었다는 점에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다. 

한국로슈진단 당뇨관리사업본부장 김주현 전무는 “아큐-첵 혈당측정기 중 가장 다양한 기능과 높은 정확성을 보유한 가이드 혈당측정기와 편리한 패스트클릭스 채혈기 세트를 출시함으로써, 혈당측정기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쉽고 편리한 혈당 관리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새롭게 출시한 가이드-패스트클릭스 제품은 아큐-첵 공식 스토어(www.accu-chek.co.kr)에서 구매 가능하며, 아큐-첵 네이버 카페 및 카카오 채널에서 출시 기념 소비자 이벤트를 진행한다. 


References
1 ISO 15197:2013 In vitro diagnostic test systems — Requirements for blood-glucose monitoring systems for self-testing in managing diabetes mellitus
2 Breton MD, Kovatchev BP. Impact of blood glucose self-monitoring errors on glucose variability, risk for hypoglycemia, and average glucose control in type 1 diabetes: an in silico study. J Diabetes Sci Technol. 2010;4(3):562-570. Published 2010 May 1. doi:10.1177/193229681000400309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