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3월 하지 재건 전문 교수 영입 및 전담팀 구성 ● 외상·난치성 만성 창상·당뇨발 등 하지 질환 전문 진료 시스템 구축 ● 수술 성공률 95% 이상, 수술 건수 50% 증가… 단기간 괄목할 성과 순천향대 부천병원(병원장 문종호)이 하지 재건 분야 전문 치료를 위해 ‘하지 재건 클리닉’을 신설하고 단기간 내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 전공의 공백이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고난도 미세수술을 중심으로 환자 맞춤형 재건 치료를 강화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성형외과는 그동안 차한규 교수가 연간 100건 이상의 하지 재건, 림프부종, 유방 재건 수술을 시행하며 경험을 축적해 왔다. 여기에 올해 3월 하지 재건 전문 정형화 교수가 합류해 전담팀을 구성, 본격적인 하지 재건 클리닉 운영에 나섰다. 클리닉은 외상, 난치성 만성 창상, 당뇨발 환자를 중심으로 하지 질환 전문 진료 시스템을 구축해 환자 치료의 체계성을 강화했다. 하지 재건은 피부·근육·뼈 등 광범위한 조직 결손을 재건하는 분야로, 외상·화상·암·혈관 질환·당뇨병성 족부 질환(당뇨발) 등이 주요 원인이다. 최근에는 림프부종 수술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하지 재건 클리닉 개
㈜우정바이오(215380, 대표이사 천희정)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첨단제약바이오 개발 인허가워크숍’에 비임상 분야 전문가로 초청돼,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글로벌 진출을 위한 개발 전략 컨설팅을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첨단제약바이오 개발 인허가 워크숍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규제 동향, 국내첨단재생바이오법의 이해, 비임상·임상 개발 전략 등을 주제로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전FDA 심사관 그레이스리 박사(현 ElevarTherapeutics)와 이지은 박사(현AreteVolo)를 비롯하여 에이비엘바이오, 큐로셀,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등 핵심적인 전문가들이 자리한다. 우정바이오는 비임상 그룹의 전문가로서 좌장을 겸하고 라운드테이블(소그룹토의) 및 사전 신청 기업들과 1:1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한다. 주요 안건으로는 △비임상 단계에서 글로벌 빅파마와 협업 시 가장 중요한데이터 패키지 △비임상 시험 기간 단축을 위한 전략적 포인트 △IND제출 시 모달리티에 따른 GLP 독성시험 요구 범위△IND 신청 시 신속한 승인을 위한 주요 보완 사례 △mRNA-LNP 최적의 비임상 독성시험모델 △mRNA-L
● AI 인공지능 분야 최신 지견 교류 및 산학연병 융합 시너지 창출 AI 인공지능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기술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2025 QUATTRO FORUM-Deep Medicine’이 지난 8월 26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아주대의대 BK21 첨단정밀의학 교육연구단, 의료인공지능 융합인재양성사업단, KOBRA(Korea Bio Research Association-KOBRA 첨단바이오 연구협력센터), 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국내외 산·학·연·병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해 최신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통한 융합 시너지를 도모했다. 포럼의 기조강연은 더불어민주당 차지호 국회의원이 맡아 ‘AI 기반의료와 미래의료시스템’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 아스트라제네카 김연진 수석디렉터, 케임브리지대학교 한남식 교수, Adelphi Ventures 정태흠 대표 등 글로벌 전문가들이 연자로 참여해 신약 개발, 유전체학, 정밀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의 최신 적용 사례와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이번 행사를 기획한 아주대의대 생리학교실 우현구 교수는 “AI 인공지능 분
● 50여 명의 병리과 전문의 참여, 최신 진단기술과 임상적 활용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 진행 ● 정밀의료 환경에서 환자 맞춤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진단 솔루션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킷 탕)은 지난 27일 서울 파르나스호텔에서 병리과 전문의를대상으로 ‘2025 VIP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약 50여 명의 국내 병리학 전문의가 참석해 혈액암관련병리진단과 위암 병리진단을 주제로 최신 진단 기술과 임상적 활용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첫 번째 세션은 “클론성의 재정의 – 혈액병리학의 혁신(Redefining Clonality: Innovations in Hematopathology)”이라는 주제로장기택 대한병리학회 이사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로슈진단 EMEA-LATAM 지역 종양학 의학부 리드 마르타 카나메로 박사(Marta Cañamero)와 로슈 병리진단사업부 책임 병리학자 사라 글래든 박사(Sarah Gladden)가 ‘Kappa Lambda mRNA Dual ISH probe[1]를활용한 새로운 클론성 평가 도구’를 소개했으며, 이어 조준훈교수(삼성서울병원)가B-cell 림프종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를 발
강원대학교병원(병원장 남우동)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센터장 이봉기)와 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는 ‘중증·응급심뇌혈관질환 진료협력 네트워크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6일 강원대병원에서 간담회를 개최하고, 영동권 심뇌혈관질환 환자의 신속한 치료를 위한 핫라인 서비스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진료협력 네트워크 시범사업’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기반으로 한 기관 간 네트워크 ▲전문의 기반 인적 네트워크 두가지 유형으로 운영되고 있다. 강원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는 기관 간 네트워크 시범사업에 지정되어 권역 내 응급환자의 신속한 이송과 최적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 소방본부 등 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우선적으로 영서권 지역을 중심으로 핫라인을 운영 중이다. 이번 간담회에는 이봉기 강원권역심뇌혈관센터장, 손대규 강원소방본부 구조구급팀장 등 양 기관 관계자가 참여한 가운데 ▲영동권 지역소방서와의 핫라인 연계 필요성 ▲환자 이송 단계별 협력체계 강화 ▲신속·정확한 정보 공유를 위한 개선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양 기관은 속초, 고성, 양양 등 영동 지방 의료 취약지 심뇌혈관질환 환자의
● KB국민은행, 국립암센터발전기금에 3억 원 기부... 국민을 암으로부터 지키고 시니어 삶의 질 향상에 기여 국립암센터발전기금(이사장 양한광)은 8월 26일(화) 오후 4시, 국립암센터 국가암예방검진동 8층에서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과 ‘시니어의 건강한 내일을 위한 기부금 협약식’을 체결했다. 우리나라 국민 사망원인 1위는 암이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수록 암 발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니어 세대의 건강 관리와 암 예방·치료는 국가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번 협약은 국민을 암으로부터 보호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양 기관의 공동 노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협약을 통해 KB국민은행은 포용 금융과 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3억 원을 국립암센터발전기금에 기부했으며, 해당 기부금은 국립암센터를 지원하여 시니어 세대의 건강 증진과 암 연구·예방·관리·치료를 위한 사회공헌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AI 기반 건강관리시스템 개발 및 병원 인프라 고도화 ▲AI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니어 노화 및 암 예방 연구 지원 ▲시니어 암환자 안전사고 방지와 재활 프로그램 개발 ▲기타 시니어 관련 사회공헌 사업 등이
● 아몬드에서 뇌 건강·세포 건강 및 노화·장 건강·면역에 이로운 신규 성분 확인 캘리포니아 아몬드 협회는 브라이트시드(Brightseed)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캘리포니아 아몬드의 새로운 건강 증진 성분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연구에는 브라이트시드의 독자적 인공지능(AI) 플랫폼 포리저(Forager®)가 활용됐으며, 연구진은 세 가지 캘리포니아 아몬드 품종 ‘넌파레일(Nonpareil)’, ‘인디펜던스(Independence)’, ‘몬터레이(Monterey)’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대사체분석/메타볼로믹스(Metabolomic Analysis/Metabolomics)를 실시해 인체 건강에 기여하는 새로운 성분을 확인했다. 특히 세 품종 모두에서 건강 촉진 화합물이 널리 존재함을 확인해 다양한 식단에 아몬드를 포함할 필요성이 더욱 확고히 뒷받침됐다.연구 결과, 캘리포니아 아몬드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무려 네 배 더 많은 건강 증진 성분이 확인돼 아몬드가 지닌 잠재적 효능에 대한 이해를 한층 심화시켰다. 여기에는 과학적으로 건강 효능이 입증된 17종의 생리활성물질(bioactive compounds)이 포함됐으며, 그중 6종은 아몬드에서 처음 보
● 바이탈케어 도입 이후 코드 블루, 장기 입원 비율 감소 및 의료진의 조기 개입 빈도 증가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에이아이트릭스(AITRICS, 대표 김광준)는 자사의 환자 상태 악화 예측 AI 솔루션 AITRICS-VC(바이탈케어)가 병원 내 코드 블루(Code Blue) 발생률을 약 25% 감소시켰다는 임상 연구 논문[1]을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의료정보학 분야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JMIR Medical Informatics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예수병원에서 수집된 총 30,785명의 입원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을 활용해 바이탈케어 도입 전후 총 17개월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후향적 실사용 연구다. 연구에서는 코드 블루 발생률, 장기 입원 비율, 의료진 조기 개입 빈도 등을 주요 지표로 평가했다. 연구 결과, 바이탈케어 도입 이후 코드 블루와 같은 중대한 이벤트 발생률이 24.97% 감소했으며, 일반 병동에서 장기 입원 비율도 유의하게 감소(P<0.05)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 병동에서의 의료진 조기 개입 빈도는 뚜렷하게 증가했으며, 바이탈케어 알고리즘 성능 역시 기존 점수 시스템 대비 우수한 것으로 확인